벌크선이란 무엇인가? ② BDI 지수 구성, 추세 및 변동성 중심으로

아웃라이어
아웃라이어 · 해운 전반 시황/트렌드 소개
2023/01/10
안녕하세요,

지난 번 예고한대로 많이들 알고 계시는 그러나…자세히는 잘 모르는 BDI라는 지수가 어떻게 구성되는 지, 그리고 전반의 추세는 어떠한 지에 관해서 공유하겠습니다.

본 분석을 통해서 향후 벌크선사 시황에 대한 이해와 투자 흐름을 잡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BDI의 구성

벌크선의 벤치마크 지수인 BDI에 대해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네이버에서 검색해보면, 벌크운임지수(Baltic Dry Index)의 약자인 BDI로도 불리며 발틱 해운거래소가 발표하는 해운운임지수를 가리킨다. 철광석 · 석탄 · 곡물 등 원자재를 실어 나르는 벌크선 시황을 나타내며 세계 26개 주요 항로의 배 유형별 벌크화물 운임과 용선료 등을 종합해서 나타낸다(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로 검색됩니다.

 위의 정의처럼 보통 BDI의 흐름에 따라 벌크선 시황을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BDI라는 지수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산출되는 지 설명드리겠습니다.

BDI(Baltic Dry Index)는 3개 선형(케이프, 파나막스, 수프라막스)의 용선료 가중치가 적용된 합성 지수입니다. 1985년 1월 4일 첫 발표하였으며, Index = 1,000을 기준으로 시작하였습니다. 처음 발표 시점에는 BFI(The Baltic Freight IndeX)로 불렸으며, 선박의 대형화와 주요 항로의 변화 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여 구성/계산식이 조금씩 변경되었습니다. 

현재 반영된 최신 계산식은 바로 아래와 같습니다.
Baltic Capesize Index (40%), Baltic Panamax Index (30%), Baltic Supramax Index (30%)로 구성되는데요.

23년 첫 시작일인 1월 3일자를 기준으로 BDI 숫자가 어떻게 산출되었는 지 설명드리겠습니다.
저자 작성

케이프 5개 항로 평균 용선료 : 13,561 * 40%(가중치) = 5,424
파나막스 5개 항로 평균 용선료...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해운/조선업에 관심이 많습니다.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트렌드 분석/관점을 공유하고 많이 소통하고 싶습니다
26
팔로워 122
팔로잉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