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돈을 써? 대학생 쓰면 되지
문제: 공공기관이나 기업이 제출한 사업 제안서에 따라 사업을 수행하는 활동. 계획서 심사, 면접 등의 과정을 거쳐 선발된 경우에만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진행 주체는 사업 진행 과정에 대해 지속적인 평가와 감독을 받는다. 진행 주체와 상관없이 사업의 결과는 사업을 제안한 기관의 실적으로 남는다. 이는 무엇일까?
(1) 공모사업 (2) 용역사업 (3) 외주사업 (4) 설마 봉사?
자원봉사, ESG, 그리고 열정페이
서울시자원봉사센터는 올해 3월부터 ‘2024 서울 청년 기획봉사단’ 사업(이하 기획봉사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업의 내용은 문제 속 내용과 완전히 동일하다. 청년들이 팀을 이뤄 현대홈쇼핑, 아모레퍼시픽, 서울신용보증재단을 포함한 16개의 기업과 공공기관이 제출한 사업 제안서에 맞춰 기획안을 제출한다. 사전 교육, 서류 심사, 면접을 거쳐 최종 선발된 청년들은 사회공헌 사업을 진행한다. 중간평가와 최종평가를 거쳐 사업이 종료되면, 청년들은 활동혜택으로 무려 활동 인증서와 봉사시간을 제공받는다. 서울시자원봉사센터는 청년들이 이 활동을 통해 “사회 진입과 일 경험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돈은 안 받지만 ‘일’을 경험해 볼 수 있다니! 청년들의 열정을 쏟아부을 수 있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기회 아닌가?
기획봉사단 사업에서 가장 큰 문제는 바로 ‘무급 노동’이다. 사실상 공모사업과 동일한 형태로 진행되는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참여하는 청년들에게는 합당한 대가가 전혀 주어지지 않는다. 약간의 실행금을 주긴 하지만, 인건비는 물론이고 장비 대여비, 교통비 등의 활동비로도 사용할 수 없어 참여자들은 오히려 자비를 들여가면서까지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 봉사니까 당연히 돈이 주어져선 안 된다고 얘기할 수도 있다. 어째서 그런가? 어째서 자발적으로 공익을 추구하는 활동은 오직 공짜 노동으로만 진행되어야 하는가? 환경, 생명, 인권의 가치를 짓밟아가면서까지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그토록 관대하면서, 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일에...
대학원생도 부려 먹어요 은퇴 후 까지 쭈욱 은퇴한 교수가 저희 외삼촌에게 전화해서 경조사비 주라고 압력 박사 논문 심사에 영향 있을까봐 울며 겨자 먹기로 주었습니다
저도 대학생인 입장에서, 거의 풀타임을 써야하는 일을 '서포터즈', '봉사단'이라는 이름으로 무급으로 일한 적이 있긴 합니다. 물론 저는 설령 무급이더라도 그 경력 하나 하나가 필요하니 했고, 기업 입장에선 활동 이력 원하는 대학생에게 일거리 주고 무급으로 자기 일 처리했으니 윈윈이긴 하지만... 솔직히 괘씸하긴 합니다ㅋㅋㅋㅋ
저도 대학생인 입장에서, 거의 풀타임을 써야하는 일을 '서포터즈', '봉사단'이라는 이름으로 무급으로 일한 적이 있긴 합니다. 물론 저는 설령 무급이더라도 그 경력 하나 하나가 필요하니 했고, 기업 입장에선 활동 이력 원하는 대학생에게 일거리 주고 무급으로 자기 일 처리했으니 윈윈이긴 하지만... 솔직히 괘씸하긴 합니다ㅋㅋㅋㅋ
대학원생도 부려 먹어요 은퇴 후 까지 쭈욱 은퇴한 교수가 저희 외삼촌에게 전화해서 경조사비 주라고 압력 박사 논문 심사에 영향 있을까봐 울며 겨자 먹기로 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