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퀸메이커> 앙꼬 빠진 사회 정의 구현 드라마

이용석
이용석 · 평화활동가
2023/04/19

대기업 전략기획실에서 일하며 한 번도 실패해 본 적 없는 이미지 메이킹의 귀재인 황도희(김희애)가 인권변호사 오경숙(문소리)을 서울시장으로 만드는 드라마라고 하니 기대가 컸다. 연기 잘하기로는 어디 내놔도 꿀리지 않을 두 배우가 처음으로 합을 맞추는 드라마인 데다, 그동안 남성들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정치 드라마(여성 국회의원 비율이 19.1%, 윤석열 정부 출범 당시 여성 장관 비율 17%, 여성 광역단체장 비율 0%이니 드라마가 아닌 현실 정치도 다를 바 없다.)에서 제대로 된 우먼 파워를 보여주리라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무척 기대를 했다. 

하지만 사람들의 반응을 보면 기대했던 바에 크게 못 미치며 실망을 안겨주고 있는 듯하다. 그동안 남자들만 가득한 정치드라마 장르에서 카리스마 넘치는 여성 배우들의 연기를 볼 수 있어서 좋았다는 평도 있지만, 대체로 이야기의 짜임새나 연출, 극의 완성도에서는 혹평을 하는 이들이 많다. 진부한 클리셰만 가득한 드라마의 주요 배역도 이제 여자 배우들이 나온다는 것이 이 드라마의 의미라는 비아냥 섞인 반응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어떤 창작물이든 장점과 단점이 있기 마련이고 때로는 단점이 무수한 작품이라도 확실한 장점 하나만으로도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퀸메이커>는 지금으로선 신중하게 판단하더라도 총체적으로 실패라고 말해도 될 것 같다.  

왜 실패했을까? 너무 뻔한 캐릭터의 문제일 수도 있고, 클리셰 가득한 진부한 연출의 문제일 수도, 게으른 시나리오 문제일 수도, 이 모든 것이 복합적이었을 수도 있다. 혹은 시청자들이 잘 알 수 없는 제작상의 어떤 심각한 문제가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이런 분석은 드라마 비평가들이나 문화평론가들의 몫으로 남겨두고 나는 좀 다른 측면에서 이 드라마의 실패 이유를 생각해보고 싶다. 


<퀸메이커>가 정치드라마로 실패한 지점

나는 이 드라마가 '여성 드라마'로 실패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주요 배역을 남자 배우로 바꾼다 한들 재미없긴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그보다는 '정치...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평화운동 단체 전쟁없는세상에서 전쟁거부자 조직 캠페인을 맡고 있습니다. 전쟁이 일어나는 원인을 사회 구조와 개인의 일상에서 무너뜨리기 위해, 전쟁에 동참하는 일체의 행위를 거부하는 방법을 찾고 실천합니다. <평화는 처음이라> <병역거부의 질문들>을 썼습니다.
4
팔로워 17
팔로잉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