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지 않는 지역 비하와 혐오

이응상
이응상 · 복잡한 세상에서 희망을 찾아 알린다.
2024/05/18
피식대학 <경상도에서 가장 작은 도시 영양에 왔쓰유예> 썸네일
2024년 5월 11일, 코미디 채널 피식대학은 <메이드 인 경상도> 경북 영양군 편을 유튜브에 올렸다. <메이드 인 경상도>는 피식대학 멤버인 이용주, 정재형, 김민수가 어색한 경상도 사투리를 쓰며 경상도 곳곳을 돌아다니는 영상인데 실제로 김민수만 울산 출신이고, 이용주는 부산에서 태어났지만, 학창시절부터 서울에 살았으며, 정재형은 대구 출신 부모님을 둔 서울 토박이다.

2024년 5월 현재 피식쇼와 함께 피식대학의 주력 콘텐츠. 매주 토요일 업로드 된다.
피식쇼 강동원편에서 이용주가 부산 사투리를 잘 모르면서 부산 출신인 강동원에게 동향 행세를 하기 위해 부산 사투리를 잘 아는 척하고, 바퀴벌레를 "바쿠쌉꿀빠"라며 이상한 사투리를 지어낸 뒤 생긴 컨텐츠다. 이 때문에 '경상도 호소인'이라 불린 이용주가 경상도 곳곳을 다니며 자신이 경상도 사람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컨셉이다. (중략) 부캐(부캐릭터)를 벗은 편안한 모습에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진지한 모먼트와 꽁트적 모먼트가 섞여 꾸준하게 반응을 얻고 있다. - 나무위키 <피식대학> 항목에서
문제의 발언이 담긴 영상 일부 갈무리
문제는 영양군의 빵집, 백반집 등에서 '서울 집에서도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맛', '메뉴 특색이 없다'고 비난했고, 로컬푸드 직매장에서 블루베리 젤리를 사 먹으면서 '할머니 살을 뜯는 맛'이라고 평가했다. 냇가에 흐르는 물을 보며 더럽다 말했고, 후반부에 '너무 볼 게 없다'고 짧게 마무리 지었다.

영상이 올라온 뒤 댓글은 이들을 비난하는 쪽이 많아졌고, 실제 나왔던 사람들, 영양군수 등 여러 사람의 반응이 각 언론에 보도되었다.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글쓰기 프로그램 '꿈꾸는 만년필' 5기, 시집 '마음을 쓰다' 저자, '헬조선늬우스'에서 칼럼 기고했었음. 삶의 안정과 자립을 위해 현 직장에 근무하나, 작가를 꿈꾸며 옛날 신문 기사, 지역, 장애인, 미디어 등으로 칼럼을 씁니다.
79
팔로워 48
팔로잉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