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이탈 주민의 경험, 실상 그리고 미래
2023/06/20
1. 탈북자 현황 및 탈북동기 변화 추이
탈북자와 관련된 통계를 살펴보면 1990년 후반부터 국내 입국 탈북자수는 많이 늘었다. 1990 년까지 1년에 100 여명 혹은 최고 200여명이 입국했으나 탈북자 수가 서서히 늘기 시작하여 2000 년 후반부터는 매년 2000명 이상씩 입국하고 있다. 대부분의 이런 국내 입국 탈북자들은 영국 파견 대사관이었던 태영호의 사례와 달리 탈북의 원인이 자유 혹은 정치적인 것이 아니었다.
1990년 있었던 홍수 피해와 이로 인한 기아로 사망하는 사람이 많았다. 대부분 탈북의 동기는 북한의 생활고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것이었다. 1999년부터 2006년까지 실시했던 조사에 의하면 당시에 55 명의 탈북자만 자유를 찾아서 한국에 온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당시에 4,510명의탈북자들이 생활고로 인해 한국에 온 것으로 나타났다. 즉, 90년대 후반 이후 주요 탈북 동기는 추상적인 이데올로기 갈등 혹은 정치적인 것이 아니라 바로 경제적인 이유였다.
1990년 있었던 홍수 피해와 이로 인한 기아로 사망하는 사람이 많았다. 대부분 탈북의 동기는 북한의 생활고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것이었다. 1999년부터 2006년까지 실시했던 조사에 의하면 당시에 55 명의 탈북자만 자유를 찾아서 한국에 온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당시에 4,510명의탈북자들이 생활고로 인해 한국에 온 것으로 나타났다. 즉, 90년대 후반 이후 주요 탈북 동기는 추상적인 이데올로기 갈등 혹은 정치적인 것이 아니라 바로 경제적인 이유였다.
탈북자 현황의 또 다른 변화의 특징은 2008년까지 국내 입국한 탈북자의 61%가 20~30대였으며 최근에는 4명중에3명이여성이라는 점이다. 또한 대부분의 탈북자들이 북한의 북쪽 지역 출신이다. 통일부에 의하면 탈북자의 78%가 함경북도 혹은 함경남도에서 왔으며 2%만이 평양에서 왔다. 한편 탈북자의 사회 계층을 보면 탈북자의 89%가 북한의 중산층 이하인 것으로 볼 때 전형적인 탈북자들이 북쪽지역 출신의 평범한 살기 어려운 여성들이라고 볼 수 있다.
2. 탈북자의 사례를 통해 본 경험
전형적인 탈북자의 경험을 통해서 한국에 오기 위해서 얼마나 어려움을 겪는지 볼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