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팬덤'의 추미애 강요? 본질은 조금 더 복잡해

작센 · 잡소리맨
2024/05/22
우원식 의원도 특별히 반이재명이거나 대여 온건파는 아닌데 강성 지지층이 강력 반발하는 모습은 묘하다. (출처: 연합뉴스)

얼마 전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총회에서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우원식 의원(5선)이 추미애 당선인(6선)을 누르고 선출되었다. 여론조사상 추 당선인의 지지도가 압도적이었고 친명계 핵심 조정식 의원(6선), 정성호 의원(5선)의 단일화까지 받은 상황이었음을 고려하면 상당히 이례적인 결과였다. '추미애 국회의장'을 열망하던 민주당 강성 지지층 사이에서는 집단 탈당신청이 접수되고 여론조사상 민주당 지지율이 일시적으로 급락하는 등 후폭풍이 거세기도 했다.

개인적으로 상징성으로 보나 경력으로 보나 추미애 당선인이 의장이 되는 게 순리라고 생각했던 입장이지만, 이 정도의 격한 반발은 살짝 의아하다. 추 당선인의 대여 강경파 이미지가 워낙 강해서 그렇지 우 의원도 '기계적 중립'을 거부하고 당성을 어필하는 마케팅을 계속해왔다. 우 의원 본인이 이재명 대표와 크게 각을 세운 적도 없고 지금 22대 국회 당선인 구성에서 반이재명이라고 부를 만한 사람들이 유의미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지도 않다. 이 상황이 무슨 '비주류의 조직적인 반란' 같은 게 아니라는 얘기다.

나는 '추미애가 아니라 우원식'이라는 이유로 저 정도로 난리가 나는 것에 별로 동의는 하지 않지만, 한 가지 지적해야 할 점은 이 사단을 단순히 "'이재명 팬덤'의 횡포"라는 식으로 표현하는 것은 상황을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이라는 점이다. 민주당 강성 지지층의 '추미애 의장'에 대한 저런 맹목적인 지지는 단순히 이재명이 가리키니 소위 '무지성'으로 따라가는 것이라고만 설명하기에는 좀 더 복잡하다.

국회의장 선출이라는 행위의 의미
왼쪽부터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 김진표 국회의장,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 (출처: 경향신문)
내가 이전에 썼던 글들을 보신 분은 내가 '국회의원의 권력은 어디까지나 유권자로부터 위임받...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주로 한국 정치에 대한 개인적 생각을 자유롭게 써보고 싶습니다.
25
팔로워 55
팔로잉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