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할 만한 시선] 독서하고 독후감을 쓰는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괴물)
2022/08/17
[문학 속 한 장면] 메리 셸리 作, <프랑켄슈타인>
프랑켄슈타인 콤플렉스
2016년 3월,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한 대결이 있었다. 구글 딥마인드사의 바둑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와 프로 기사 이세돌 9단의 대결이다. 대결 이후 많은 기사가 쏟아져 나왔는데 그 중 내 관심을 끌었던 것은 알파고 핵심개발자이자 딥마인드 CEO인 데미스 허사비스가 어린 시절 <프랑켄슈타인>을 흥미롭게 읽었다는 내용이었다. 그는 딥마인드의 방들에다 자신이 좋아하는 인물들의 이름을 붙였는데 그 중 하나가 ‘메리 셸리’라고 밝히기도 했다.
허사비스가 <프랑켄슈타인>에서 얻은 메시지는 어떤 것일까. 그가 딥마인드를 인수하겠다는 페이스북의 제안을 거절하고 구글을 택하면서 회사 내부에 ‘인공지능윤리위원회’를 설립해달라고 요청한 일은 잘 알려져 있다. 이 일화는 ‘프랑켄슈타인 콤플렉스(Frankenstein Complex)’라는 개념을 떠올리게 한다. 프랑켄슈타인 콤플렉스는 인간이 완벽히 통제할 수 없는 과학기술에 대한 두려움을 가리키는 한편, 과학자들의 윤리적 책임감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과학기술 자체는 중립적이지만 인간이 그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그 영향은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결국 과학기술을 다루는 인간의 신중한 태도, 윤리적인 판단과 선택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작품 <프랑켄슈타인>은 과학자의 윤리라는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룬 최초의 작품이다. 하지만 이는 좀 납작한 설명이기도 하다. 메리 셸리의 원작은 훨씬 풍부한 주제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프랑켄슈타인>의 줄거리는 이렇다. 전기와 연금술에 꽂힌 한 청년 과학도가 있다. 그의 이름은 빅터 프랑켄슈타인. 그는 시체의 부분들을 그러모은 후 전기를 이용하여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낸다. 그런데 막상 결과물이 생명을 얻어 꿈틀거리는 모습을 보니 흉측하기 그지없다. 그는 혐오와 공포에 질려 실험실을 뛰쳐나온다. 자신이 만든 피조물을 내버려둔 채 무책임하게 도망친 것이다.
교수, 평론가, 시인, 라디오 DJ, 작가, 전문 연구원, 기자, 에세이스트…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전하는 깊이 있는 지식과 통찰을 아홉시에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