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 현실화 되고 있는 경기 변화의 뉴노멀

서준수
서준수 · 꿈꾸는 현실주의자
2022/02/12

1월 미국 CPI 지수가 7.5% 상승한 것으로 최종 발표되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7.2%로 전망했으나, 전망치를 웃도는 것으로 이 수치는 1982년 2월 이후 최대 상승폭이며, 전월 7.0%보다도 더 높은 수치이다. 

물가는 중앙은행의 금리 변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미국의 연준이든 한국의 한국은행이든 통화정책이 물가안정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물가는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물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자원이 효율적으로 활용, 배분되고 있는 기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동기대비 2%정도를 유지할 때라고 본다. 2월 3일 발표된 한국 CPI는 전년 대비 3.6% 증가했다. 기준치보다 높긴하지만 미국만큼 큰 상승폭이 아니라는 함정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 물가에 최근까지 급격히 변화한 전월세 등 주거비의 현실을 제대로 CPI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0여년 동안 우리는 통화량 팽창의 시대에 익숙해져 있었고 당연한 현실로 받아들이며 살았다. 양적완화라는 말이 대중에게도 꽤 친숙한 용어로 다가왔다. 2008년 금융...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Ph. D. in International Relations
51
팔로워 192
팔로잉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