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엔 공장, 밤엔 학교 - 엄마와 페미니즘 하기(3)
2022/06/28
“그럼 돈은 누가 벌고?”
엄마가 대학에 가고 싶다고 말했을 때 외할아버지께서 하신 말씀이다. 여자애가 대학은 무슨 대학이라거나, 고등학교 공부까지 했으면 됐다거나 하는 말도 아니라 앞으로 돈을 누가 버냐니. 철 지난 유행어 ‘소는 누가 키우고!’ 같은 말씀을 왜 하셨을까. 외할아버지께선 당신도 당신의 아들도 일을 못하는 판국에 큰딸이 대학에 진학해 다니던 공장이라도 그만두면 집에 돈 버는 사람이 없어지니 큰딸의 대학 진학을 완강히 반대하셨다.
엄마는 중학교를 졸업하고부터 돈을 벌었다. 1년 동안은 신발공장에서 일만 했고, 3년 동안은 산업체 특별학급 제도를 통해 낮에는 공장에서 일하고 밤에는 고등학교를 다녔다. 산업체 특별학급 제도는 산업체에서 일하는 청소년들에게 중·고등학교를 다닐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대부분 인근 중·고등학교에 야간특별학급을 두어 운영했다. 엄마처럼 신발공장을 다니거나 섬유공장을 다니는 여학생이 많았다고 한다. 신발과 섬유산업은 그 시절 부산에서 가장 유망했다. 학생들이 다 일을 하니 소풍은 공장이 쉬는 일요일이나 휴가기간에 갔다고 한다. 외할머니가 이른 아침 생선 장사를 하러 나가시고 엄마는 출근 준비를 하며 외할아버지와 외삼촌, 이모의 아침식사까지도 다 준비했다.
엄마가 어린 나이부터 가족을 위해 돈을 벌어야 했던 것은 단순히 집이 가난해서가 아니었다. 좀 더 국가적 차원의 문제였다. 외할아버지와 외삼촌이 일을 하지 않는, 아니 못하는 이유는 다름 아닌 연좌제 때문이었다. 엄마의 당숙, 그러니까 외할아버지의 사촌 중 한 분은 비전향장기수였다. 당시 말로는 빨갱이. 엄마의 집안은 ‘빨갱이 집안’이었다.
엄마가 어린 나이부터 가족을 위해 돈을 벌어야 했던 것은 단순히 집이 가난해서가 아니었다. 좀 더 국가적 차원의 문제였다. 외할아버지와 외삼촌이 일을 하지 않는, 아니 못하는 이유는 다름 아닌 연좌제 때문이었다. 엄마의 당숙, 그러니까 외할아버지의 사촌 중 한 분은 비전향장기수였다. 당시 말로는 빨갱이. 엄마의 집안은 ‘빨갱이 집안’이었다.
연대책임이라는 굴레 속 책임이라는 멍에
연좌제는 범지를 저지른 자와 특정한 관계에 있는 사람에게 연대책임을 지게 하고 처벌하는 제도다. 사극에 자주 나오는 대사인 ‘죄인의 ...
선천적 예민러, 프로불편러, 하고재비. '썬'을 이름으로 자주 쓴다. 특별히 잘하는 것은 없지만, 가만히 있기와 시키는 대로 하기는 특별히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