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1/25
저의 경우, 실제로 기본소득에 관심이 많았던 편이고, 2019년인가 2020인가.. 기억상 2019 하반기 LAB2050 기본소득 설명회를 실제로 참여했던 사람이기도 합니다. 그 당시에도, 지금도 기본소득에 대한 연구를 위해 상당히 많은 가정과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 놀랐었는데요(연구원으로 먹고살려면 저 정도는 해야 하는 건가..!). 2,3를 흘끗 봤을 땐 없다고 생각하는, 조금 더 생각해 볼 지점 2가지를 짧게 던져보겠습니다.
1. 기본소득이 아니더라도 복지제도는 기본적으로 상위 소득 백분위일수록 손해입니다.
매우 뻔한 이야기지만, 오히려 좋은 시각화 자료에 의해 간과할 수 있는 지점입니다.
많은 복지 제도들은 기본적으로 부의 재분배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군더나, 복지의 사각지대를 해결하는 보편적 방식인 기본소득의 형태라면, 그 손해를 보는 소득분위 구간이 더 촘촘하고, 점진적이게 됩니다(세금 다 걷어가고, 30씩 주니까요).
즉,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인구가 손해를 보는 건, 우선 기본소득제도의 문제점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이 점은 체크하고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복지제도가 상위 소득 분위의 부를 하위 소득 분위에게 분배하는 제도니까요.
그래서, 오히려 유권자 입장에서 이득이라면 당연히...
1. 기본소득이 아니더라도 복지제도는 기본적으로 상위 소득 백분위일수록 손해입니다.
매우 뻔한 이야기지만, 오히려 좋은 시각화 자료에 의해 간과할 수 있는 지점입니다.
많은 복지 제도들은 기본적으로 부의 재분배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군더나, 복지의 사각지대를 해결하는 보편적 방식인 기본소득의 형태라면, 그 손해를 보는 소득분위 구간이 더 촘촘하고, 점진적이게 됩니다(세금 다 걷어가고, 30씩 주니까요).
즉,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인구가 손해를 보는 건, 우선 기본소득제도의 문제점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이 점은 체크하고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복지제도가 상위 소득 분위의 부를 하위 소득 분위에게 분배하는 제도니까요.
그래서, 오히려 유권자 입장에서 이득이라면 당연히...
인공지능, 정치과정, 국제정치, 사회 시사 이슈 등 다루고 싶은 걸 다룹니다.
기술과 사회에 관심이 많은 연구활동가(Activist Researcher)입니다.
연구, 협업 등 문의 tofujaekyung@gmail.com
저는 지금 60장짜리
<솔루션2050_04_국민기본소득제_2021년부터_실현_가능한_모델_제안_20200107>
읽고 있습니다.
서두는 부의 불균형이 초래된 사태와 부를 왜 재분배 해야 하는 지에 대한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더군요.
그리고 가진자의 불안과 가지지 못한자의 불만을 이유로 재분배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객관적으로 보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제가 보고 있는 부분에서 설득력이 떨어지고 있어서
내놓아야 하는 사람들에게 큰 어필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정치란 것이 본래
누구에게서 빼앗아 누구에게 나누느냐가 문제이고
나누었을 때 어떻게 나누어 불만을 최소화 시키느냐의 관점이라면 말입니다.
보편복지는 우리가 어차피 나가야 하는 방향일 것입니다.
하지만 과도기적으로 명분을 심어야하는 정부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저는 지금 60장짜리
<솔루션2050_04_국민기본소득제_2021년부터_실현_가능한_모델_제안_20200107>
읽고 있습니다.
서두는 부의 불균형이 초래된 사태와 부를 왜 재분배 해야 하는 지에 대한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더군요.
그리고 가진자의 불안과 가지지 못한자의 불만을 이유로 재분배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객관적으로 보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제가 보고 있는 부분에서 설득력이 떨어지고 있어서
내놓아야 하는 사람들에게 큰 어필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정치란 것이 본래
누구에게서 빼앗아 누구에게 나누느냐가 문제이고
나누었을 때 어떻게 나누어 불만을 최소화 시키느냐의 관점이라면 말입니다.
보편복지는 우리가 어차피 나가야 하는 방향일 것입니다.
하지만 과도기적으로 명분을 심어야하는 정부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