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경
김재경 인증된 계정 · Active Researcher
2021/11/25
저의 경우, 실제로 기본소득에 관심이 많았던 편이고, 2019년인가 2020인가.. 기억상 2019 하반기 LAB2050 기본소득 설명회를 실제로 참여했던 사람이기도 합니다. 그 당시에도, 지금도 기본소득에 대한 연구를 위해 상당히 많은 가정과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 놀랐었는데요(연구원으로 먹고살려면 저 정도는 해야 하는 건가..!). 2,3를 흘끗 봤을 땐 없다고 생각하는, 조금 더 생각해 볼 지점 2가지를 짧게 던져보겠습니다.

1. 기본소득이 아니더라도 복지제도는 기본적으로 상위 소득 백분위일수록 손해입니다.

매우 뻔한 이야기지만, 오히려 좋은 시각화 자료에 의해 간과할 수 있는 지점입니다.
많은 복지 제도들은 기본적으로 부의 재분배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군더나, 복지의 사각지대를 해결하는 보편적 방식인 기본소득의 형태라면, 그 손해를 보는 소득분위 구간이 더 촘촘하고, 점진적이게 됩니다(세금 다 걷어가고, 30씩 주니까요).

즉,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인구가 손해를 보는 건, 우선 기본소득제도의 문제점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이 점은 체크하고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복지제도가 상위 소득 분위의 부를 하위 소득 분위에게 분배하는 제도니까요.
그래서, 오히려 유권자 입장에서 이득이라면 당연히...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인공지능, 정치과정, 국제정치, 사회 시사 이슈 등 다루고 싶은 걸 다룹니다. 기술과 사회에 관심이 많은 연구활동가(Activist Researcher)입니다. 연구, 협업 등 문의 tofujaekyung@gmail.com
592
팔로워 1.7K
팔로잉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