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고르기에 진심이라면서!

몬스
몬스 · 네트워크 과학을 공부/연구합니다.
2023/11/15
1. 최근 영장류학자 로빈 던바 선생님의 책과 연구에 빠져있다. 다소 집착적이면서도 그로인해 생명력을 얻은 사회적 뇌 가설 분야의 흐름을 좇으며 그저 사실의 나열과는 다른 어떤 매력을 느끼는 듯 하다. 역시 무언가에 대한 열정적인 덕질은 스스로도 남에게도 매력적인 삶의 방식인 것 같다.

2. 던바 선생님의 관찰에 따르면 영장류 중 가장 사회적인 종의 경우 일과 시간의 약 20%를 사회적 활동인 털고르기에 사용한다고 한다. 이 활동이 사회적인 이유는, 털고르기로 형성된 관계가 서로의 안부를 챙기는 정도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저 이나 벼룩 같은 흡혈 동물들을 떼어 놓기 위한 행위라기엔 너무 많은 시간과 정성을 기울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런 의미에서 털고르기는 일종의 사회적 화폐라고 볼 수 있다.

3. 던바 선생님의 강력한 주장 중 하나는 털 고르기와 엔도르핀의 작용이다. 털을 고르는 동작에 특화된 촉각 세포가 뇌 안에서 엔도르핀 작용을 활성화 시킨다는 연구에 근거한 주장인데, 이 때 분비되는 엔도르핀이 심리적 안정과 유대감 형성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유대감과 관련해서는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의 역할도 잘 알려져 있는데, 털고르기에 의한 엔도르핀 분비 효과의 특징은 상호적이라는 것이다. 즉, 털을 고르는 식으로 본인이 아닌 타인의 엔드로핀 분비를 직접 촉진시킬 수 있다는 건데, 이런 상호적 보상 시스템이 사회적 화폐로써의 털고르기 행위의 배경이 된다는 설명이다.

4. 사람의 경우 털고르기를 대체할 수단을 여럿 발전시켰다고 한다. 웃음, 노래, 춤, 스토리...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복잡계 과학에 관심이 많고, 그 중 주로 네트워크 과학을 공부/연구/덕질 하고 있습니다.
649
팔로워 1.1K
팔로잉 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