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자의 시선에서 본 한국인에 대해
2023/03/26
얼마 전 Cultural difference라는 강의를 들은 적 있다. 내가 근무하고 있는 곳은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섞여 있는데, 문화적 차이로 인한 이질감을 조금이나마 해소해 보고자 마련된 시간이었다.
강의는 Context(맥락)의 높고 낮음을 기준으로 국가를 분류했다. High Context 문화는 의견을 돌려서 말해 배경지식이 있어야 이해 가능하며, Low Context 문화는 직접적으로 설명해 누구나 이해 가능하다는 말이었다.
예를 들어 만약 거절을 할 상황에 처하게 된다면, Low Context 문화에서는 "No!"라고 단호히 말할 수 있지만, High Context 문화에서는 "제가 하고는 싶지만 요즘 눈코 뜰 새 없이 바쁘고 제 역량이 그것을 할만한 수준인지도 모르겠고..."와 같이 빙빙 돌려서 말하는 식이다.
상기와 같은 거절 의견이 나오면 Low Context 문화에서는 이런 반응이 나올 것이다. "그래서... Yes라는 거야 No라는 거야?". 그러면 High Context 문화에서는 이렇게 말을 할 것이다. "그걸 꼭 말로 해야 알아들어?"
이처럼 우리는 나면서부터 High Context 문화에서 살아왔으며, 늘상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들으라는 강박(?!)에 살아가고 있다. 동서양의 문화 차이는 이와 같이 명확하게 구분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한중일의 관점으로 조금 더 세분화해서 들어가면 어떠할까. 한국인만의 특징은 어떻게 말을 할 수 있을까.
얼마 전 교토대학의 오구라 기조 교수의 책,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를 읽었다. 250 페이지 내외의 작은 단행본이라 읽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는 않았다. 다만 그 페이지 페이지가 곱씹을만해서 두서너 번 다시 읽으며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오구라 기조가 말하는 한국의 철학은 성리학(性理學)이다. 송나라의 주희가 집대성했다고 알려져 있는 성리학이 ...
@양동신 답변 감사합니다 같은 마음 입니다
@최성욱 네, 맞습니다. 하지만 외국에서 일을 하다보면 한국과 같이 공공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져 있는 나라는 드물게 느껴집니다. 제가 덴마크에서 Working visa를 받기 위해 일주일 가량 고생했던 기억이 있는데요. 탁상행정의 끝판왕, 그리고 시민 위에(특히 외국인 위에) 존재하는 공무원을 보고 안타까웠던 적이 있습니다. 물론 중동이나 인도, 남아공 등은 말할 것도 없겠지요. 부디 한국의 공공시스템이 더 잘 발전해 나갈 수 있기를 기원해 봅니다.
어쩌면 다문화 사회를 만드는데 제일 방행되는 요소는 사람의 마음이 아니라 탁상행정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김병민 감사합니다. 저도 이번 오구라 기조의 책을 통해 성리학에 대해 조금 더 깊은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부디 다양한 사람들이 조화롭게 살아가는 한국이 될 수 있기를 기원해 봅니다.
한국 문화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차이에 대한 고찰에 존경을 표합니다. 특히 오구라 기조 교수의 책을 통해 한국인의 독특한 리(理)와 기(氣)의 개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문화에 대해 언급할 때 덴마크 사회와 한국 사회에 관한 비교는 흥미롭습니다. 무려 "덴마크에서 청소부든 의사든 교수든 학생이든 같은 존중을 받는다."고 말이죠! 이러한 문화적인 차이를 인정하고 이해하는 것이 비로소 진정한 평등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공유해 주신 출생률 관련 문제에서 한국 사회가 변화에 빠르게 적응해야 한다는 점도 동감합니다. "한국인은 누구이며, 어째서 현재의 한국인이 되었는지"도 살펴 보면서 여러 차원에서 한국 사회의 발전과 변화에 높은 기대를 갖게 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매우 유익한 이야기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을 통해 문화적 차이와 각 나라의 독특한 특성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데 분명히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한국인들의 모습에 기쁨과 웃음, 그리고 감사를 느낍니다!
한국 문화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차이에 대한 고찰에 존경을 표합니다. 특히 오구라 기조 교수의 책을 통해 한국인의 독특한 리(理)와 기(氣)의 개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문화에 대해 언급할 때 덴마크 사회와 한국 사회에 관한 비교는 흥미롭습니다. 무려 "덴마크에서 청소부든 의사든 교수든 학생이든 같은 존중을 받는다."고 말이죠! 이러한 문화적인 차이를 인정하고 이해하는 것이 비로소 진정한 평등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공유해 주신 출생률 관련 문제에서 한국 사회가 변화에 빠르게 적응해야 한다는 점도 동감합니다. "한국인은 누구이며, 어째서 현재의 한국인이 되었는지"도 살펴 보면서 여러 차원에서 한국 사회의 발전과 변화에 높은 기대를 갖게 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매우 유익한 이야기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을 통해 문화적 차이와 각 나라의 독특한 특성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데 분명히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한국인들의 모습에 기쁨과 웃음, 그리고 감사를 느낍니다!
@양동신 답변 감사합니다 같은 마음 입니다
@최성욱 네, 맞습니다. 하지만 외국에서 일을 하다보면 한국과 같이 공공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져 있는 나라는 드물게 느껴집니다. 제가 덴마크에서 Working visa를 받기 위해 일주일 가량 고생했던 기억이 있는데요. 탁상행정의 끝판왕, 그리고 시민 위에(특히 외국인 위에) 존재하는 공무원을 보고 안타까웠던 적이 있습니다. 물론 중동이나 인도, 남아공 등은 말할 것도 없겠지요. 부디 한국의 공공시스템이 더 잘 발전해 나갈 수 있기를 기원해 봅니다.
어쩌면 다문화 사회를 만드는데 제일 방행되는 요소는 사람의 마음이 아니라 탁상행정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김병민 감사합니다. 저도 이번 오구라 기조의 책을 통해 성리학에 대해 조금 더 깊은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부디 다양한 사람들이 조화롭게 살아가는 한국이 될 수 있기를 기원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