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과 구글의 불편한 동거, 남은 유효기간은?
2023/10/19
구글 반독점 소송
2023년 9월 12일.
구글이 검색 엔진 시장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그 지배력으로 경쟁을 방해했다는 이유로 미국 연방 법원에 기소되었습니다. 미 법무부 대리인 케네스 단처 변호사는 "구글 독점은 앱을 열고 브라우저를 다운로드할 때부터 시작된다. 이때 나오는 '기본 설정'창을 통해 구글은 경쟁 기업보다 검색을 더 많이 확보하고 통제했다. 구글이 가장 근접한 경쟁자 빙(Bing)보다 16배나 많은 신규 데이터를 얻고 있다는 점에서 논란의 여지가 없다"라고 주장했습니다.
디지털 시대에서 데이터는 곧 경쟁력입니다. 방대한 데이터의 수집은 더욱 정확한 검색 결과 제공으로 이어지고, 이를 통해 더욱 많은 사용자를 유치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시 데이터 수집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죠.
문제는 구글이 워낙 강력하게 시장을 지배하고 있어 경쟁 기업의 성장이 제한되고, 혁신의 속도가 느려지게 되는 점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결국 소비자의 손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미국과 애플의 검색 서비스 계약
구글의 반독점 소송의 가장 큰 쟁점은 애플과의 검색 서비스 계약입니다. 현재 애플의 기본 웹브라우저인 사파리에는 구글이 기본(Default)으로 설정되어 있는데요. 구글은 이에 대한 대가로 검색 광고 매출의 일부를 애플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매출의 일부라고 표현했지만, 구글이 애플에 지불하는 금액은 $19 Billion(한화 약 25조 원)으로 지난해 애플이 거둔 순이익의 약 20%에 해당되는 금액으로 굉장히 큰 규모입니다. 그럼에도 매출의 일부라고 표현할 수 있는 이유는 구글이 아이폰 모바일 사용자들로부터 얻는 광고 수익이 그의 몇 배 이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애플의 딜레마
애플 입장에서는 가만히 앉아서 $19 B...
@띵크빅 황금같은 주말에 이렇게 귀중한 피드백을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적해주신 부분들을 복기해보니, 오히려 제가 오해를 했던 것 같습니다.
말씀해주신 것처럼 이러한 류의 글을 작성할 때에는 해외 언론의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하고 있습니다. 중간의 링크 역시 CNBC의 기사이기도 했구요.
다만, 전반적으로 제 글의 깊이와 설명이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두 가지의 포인트 모두 충분히 공감했으며, 앞으로 글 작성할 때 참고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해외 언론을 살펴보라고 말씀드렸던 점은 뉴욕타임즈 기사나 워싱턴 포스트 기사의 경우 이런 부분이 더 자세히 설명되어있기에 그랬던 것입니다.
@이재훈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 왜 글을 일반적이라고 느꼈는지 좀 더 자세히 적어보겠습니다.
1. 글의 모순
글 앞 부분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GPT 도입으로도 구글이 여전히 훨씬 더 많은 검색 점유율을 갖고 있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이를 통해 "여전히 사용자들은 생성형 인공지능 도입에도 상관없이 예전에 쓰던거 계속 쓰고있다" 라는 인상이 전해집니다. 이후 애플의 검색 진출이 더 큰 영향력을 가져올 수 있는 이유 중 2번째로 기술적 격변기라서 사용자들은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니 애플이 새로운 기술 가져오면 구글에서 갈아탈꺼다 라는 모순적 입장을 말씀해주고 계십니다.
이러한 모순은 GPT같은 글쓰기에서 많이 발견되기에 GPT를 쓰시는지 물어보았던 것입니다.
2. 글의 디테일 부족
애플의 검색 시장 진출이 시장파급력이 크다는 이유 첫번째로 애플의 막강한 생태계를 들어주셨는데요, 통합된 검색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의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주시면 좋았을 겁니다. 글만 읽고서는 현재 구글 검색이 애플 생태계에서 해주지 않는 점이 무엇인지, 이 점을 애플 검색이 어떻게 해결해줄 수 있는지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띵크빅 안녕하세요. 우선, 좋은 글을 쓰기 위한 피드백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글을 쓰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그러나 피드백 내용 중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설명을 드리고자 댓글 남깁니다.
첫 번째로, "글이 너무 일반적인 편이기에 외국 언론의 글을 더 인용하거나 일화를 더 제시하는 방식을 권한다." 이를 바꿔 말하면, 외국 언론의 글을 인용하지 않거나 일화를 제시하지 않으면 글이 일반적인 편이 된다는 말씀이신데요. 이 의견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외국 언론의 인용이나 일화가 적다고 해서 반드시 일반적인 글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프로필에 적혀있듯 칼럼을 작성하는 사람입니다. 칼럼의 사전적인 정의를 보면, "특정한 주제나 이슈에 대해서 필자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신문이나 잡지 등에 싣는 것. 한 마디로 개인의 생각을 작성하는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말은 주어진 상황을 제 나름대로 소화하여, 그에 대한 제 의견을 작성해야 한다는 것이죠. 지금 작성된 내용 이상의 인용이나 일화가 더해진다면, 오히려 칼럼의 본질을 잃어버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로, GPT와의 연관성에 대한 부분입니다. 제 글의 어떤 부분에서 GPT의 영향을 받았다고 느끼셨는지 궁금합니다.
잘 아시겠지만, GPT는 저보다 글을 더 잘 씁니다. 만약 GPT에게 피드백해주신 것처럼 외국 언론의 글을 더 많이 인용해주고, 일화를 더 많이 적어달라고 하면 그렇게 해줄거고, 혹 글을 더욱 흥미롭게 작성해달라고 하면 그렇게도 해줄겁니다.
그렇게 작성된 글이라면 GPT의 영향을 덜 받았다고 느껴지실지 궁금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저는 GPT의 도움을 받아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다만, 정보 검색을 위주로 활용하고, 부가적으로 글이 완성된 다음 정보의 오류는 없는지, 오/탈자는 없는지를 확인하는 용도로만 활용하고 있습니다. 글의 내용은 온전히 저의 생각에서 작성된 것입니다.
저는 앞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글을 작성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이정도의 글을 쓸 때에도 몇 시간의 시간을 공을 들여 작성합니다. 그런데 GPT의 도움이 컸다는 뉘앙스로 말씀하시기에 저의 노력이 다소 폄하되는 것처럼 느껴져 이를 해명하고자 댓글이 다소 길어졌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다시 한 번 피드백을 주셔서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좋은 글을 작성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혹시 글을 쓸 때 GPT의 도움을 많이 받으시는 편인지요? 글이 너무 일반적인 편입니다. 외국 언론의 글들을 더 인용하시거나 일화를 더 제시하는 방식을 권해봅니다
해외 언론을 살펴보라고 말씀드렸던 점은 뉴욕타임즈 기사나 워싱턴 포스트 기사의 경우 이런 부분이 더 자세히 설명되어있기에 그랬던 것입니다.
@이재훈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 왜 글을 일반적이라고 느꼈는지 좀 더 자세히 적어보겠습니다.
1. 글의 모순
글 앞 부분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GPT 도입으로도 구글이 여전히 훨씬 더 많은 검색 점유율을 갖고 있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이를 통해 "여전히 사용자들은 생성형 인공지능 도입에도 상관없이 예전에 쓰던거 계속 쓰고있다" 라는 인상이 전해집니다. 이후 애플의 검색 진출이 더 큰 영향력을 가져올 수 있는 이유 중 2번째로 기술적 격변기라서 사용자들은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니 애플이 새로운 기술 가져오면 구글에서 갈아탈꺼다 라는 모순적 입장을 말씀해주고 계십니다.
이러한 모순은 GPT같은 글쓰기에서 많이 발견되기에 GPT를 쓰시는지 물어보았던 것입니다.
2. 글의 디테일 부족
애플의 검색 시장 진출이 시장파급력이 크다는 이유 첫번째로 애플의 막강한 생태계를 들어주셨는데요, 통합된 검색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의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주시면 좋았을 겁니다. 글만 읽고서는 현재 구글 검색이 애플 생태계에서 해주지 않는 점이 무엇인지, 이 점을 애플 검색이 어떻게 해결해줄 수 있는지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혹시 글을 쓸 때 GPT의 도움을 많이 받으시는 편인지요? 글이 너무 일반적인 편입니다. 외국 언론의 글들을 더 인용하시거나 일화를 더 제시하는 방식을 권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