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의 또 다른 시선 - 신유라시아주의와 한반도

서준수
서준수 · 꿈꾸는 현실주의자
2022/01/29
2014년 4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지속되었던 우크라이나 동부 분쟁은 9천 명 사망, 2만 명 부상, 120만 명의 난민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2022년 현재 우크라이나 동부는 또 다시 전운이 감돌고 있다.
Photo by Max Kukurudziak on Unsplash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원인은 다양하게 해석되었다. 첫째는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과 우크라이나 사태 개입의 주 목적은 푸틴 행정부의 국내 정치적 안정을 위해 대외 불안을 조성했다는 것이다. 이런 방식의 해석은 매우 전통적인 해석이라 뻔해 보일 수 있지만, 꽤 설득력은 있다. 이것은 임진왜란의 원인이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 전국 통일 후 권력 강화를 위해 다이묘들을 대거 조선 침략으로 내몰았다는 해석과 비슷한 것이다.

둘째는 서구의 도전에 대한 응전이라는 현실주의적, 지정학적 분석이다. 소련 해체 이후 미국이 러시아에 대한 안보 위협을 하지 않는다는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반작용이라는 것이다. 동유럽 국가들의 나토와 유럽연합 가입으로 러시아 역사의 기원에 있는 키에프(우크라이나 수도)까지 친서방으로 넘어간다면 러시아에게는 위협 의식이 되어 그것이 군사경제적 대응으로 나타났다는 해석이다.

셋째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정치 제도의 차이가 야기한 충돌이다. 소련 해체 이후 우크라이나는 점진적인 민주화 과정을 경험했지만 러시아는 권위주의로 기울었다. 두 인접국의 다른 정치체와 민주주의에 대한 다른 경험이 현 러시아의 정치사회적 구조를 붕괴시킬 것이라는 위협론인 것이다.

넷째는 러시아의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대외전략이라는 것이다. 이 점에서 크림반도 병합, 우크라이나 내전 개입, 시리아 공습 등으로 이어지는 러시아의 신속한 개입과 철수가 러시아의 군사력과 대외적 위상을 강화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2014년에 이어 2022년 또 다시 불거지는 분쟁은 어떻게 일관성 있게 볼 수 있느냐이다. 국제 질서를 보는 인식의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Ph. D. in International Relations
51
팔로워 192
팔로잉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