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에 대한 덴마크의 태도, 어쩌면 해법
2023/09/28
“전문가가 항상 고령층의 가까이에서 신뢰를 구축하고 그들의 니즈를 파악해야 의미 있는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메테 키르케고르(Mette Kierkgaard) 덴마크 고령부 장관의 말. 장관은 지난 24일 우리나라에 왔는데, 방한 이틀째인 25일 오전 서울 삼성동에서 나와 만나 여러 이야기를 나눴다. 한국 언론인과는 첫 인터뷰였다. 다년간 보건복지부와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출입해온 터라 복지 선진국인 덴마크의 고령화 정책에 궁금한 게 많았다.
덴마크 고령부는 일견 우리나라의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비교되지만 정식 행정부처로써 담당 역할과 권한 등은 더 넓다. 고령부 자체 인력은 200명이며, 올해 예산은 2억 크로네(약 383억 원)다. 고령화 문제를 비롯해 주택 및 사회 문제도 담당한다. 고령부 자체 규모만 보면 결코 크다고 할 수는 없지만, 지난해 기준 지자체가 노령 관련 사업 예산은 550억 크로네(약 10조5333억 원)에 달한다.
메테 장관은 취임 이후 첫 해외 순방국으로 우리나라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한국의 혁신적인 복지 기술과 기술의 현장 적용 사례를 배우고 싶었다”고 밝혔다. 사전질의서를 바탕으로 답변을 준비해온 그에게 나는 질문지에 포함되지 않은 질문을 이것저것 물어보았다. 장관은 약간 원론적인 구석도 있었지만, 내가 만족해하지 않으면 실제 사례를 들어 부연하는 식으로 답변을 하려고 노력했다. 동석했던 특별보좌관은 별로 개의치 않는 눈치였다.
메테 장관은 덴마크와 우리나라가 당면한 고령화와 대응, 디지털 복지 기술의 현장 적용 과제 등에 대해 이야기를 했고, 특히 우리나라의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역할 개선 방안으로 부처 간 원활한 협력이 가능토록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메테 장관은 현재 고령화 관련 법안을 준비 중이었다. 법안의 내용까지는 상세하게 알지 못했지만, 방향성 정도는 알 수 있었다. 그는 “제대로 된 관계없이는 그 누구도 도와줄 수 없다”는 덴마크 철학자의 말을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