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길
2024/06/14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이 조만간 북한을 방문해 북러 회담을 열 것이라고 한다. 북한이 지정학적으로 중국과 가깝지만 중국의 속내를 불신하고 있기 때문에 늘 가까이 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때문에 북중 관계를 어느 정도 견제하려면 러시아가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그런 식으로 체제 문제를 풀기는 어렵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북한의 길]
과학사가 토마스 쿤의 책 <과학혁명의 구조>를 처음 접한 것은 내가 막 대학원에 들어갔던 시기니까 아마도 1982년 쯤인가 싶다. 그 당시는 번역본이 없어서 영어로 읽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나서 멍 때리는 느낌을 받았다. 과학사의 전개 경험에서 얻은 이론이지만 다른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꼈다.
패러다임이 갖는 의미는 매우 다양하겠지만, 우리가 사물을 인식하는 인식론적 틀(framework)의 역할도 한다. 모든 정상과학은 주어진 패러다임 안에서 문제풀이(problem solving)에 주력한다. 그런데 어느 순간 이런 틀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들이 생길 수 있다. 그 때 이 패러다임을 벗어나는 혁명적 순간이 일어난다. 패러다임 스위치 (paradigm-switch)가 그것이다. 뉴턴 역학이 물리적 자연세계를 잘 설명했지만 극대와 극미의 세계에서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19세기말부터 수많은 과학자들이 그 틀 안에서 그런 문제를 설명하려 했지만 실패하고 말았다. 20세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쿤이 말하는 기존 과학의 틀을 벗어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혁명은 이렇게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데서 일어난다.
과학 이론의 전개에서 얻어진 쿤의 설명은 사회 변동이나 체제의 혁명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개연성이 있다. 한 사회가 지켜오던 규범이나 관습, 법과 ...
"[북한의 길]
과학사가 토마스 쿤의 책 <과학혁명의 구조>를 처음 접한 것은 내가 막 대학원에 들어갔던 시기니까 아마도 1982년 쯤인가 싶다. 그 당시는 번역본이 없어서 영어로 읽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나서 멍 때리는 느낌을 받았다. 과학사의 전개 경험에서 얻은 이론이지만 다른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느꼈다.
패러다임이 갖는 의미는 매우 다양하겠지만, 우리가 사물을 인식하는 인식론적 틀(framework)의 역할도 한다. 모든 정상과학은 주어진 패러다임 안에서 문제풀이(problem solving)에 주력한다. 그런데 어느 순간 이런 틀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들이 생길 수 있다. 그 때 이 패러다임을 벗어나는 혁명적 순간이 일어난다. 패러다임 스위치 (paradigm-switch)가 그것이다. 뉴턴 역학이 물리적 자연세계를 잘 설명했지만 극대와 극미의 세계에서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19세기말부터 수많은 과학자들이 그 틀 안에서 그런 문제를 설명하려 했지만 실패하고 말았다. 20세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쿤이 말하는 기존 과학의 틀을 벗어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혁명은 이렇게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데서 일어난다.
과학 이론의 전개에서 얻어진 쿤의 설명은 사회 변동이나 체제의 혁명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개연성이 있다. 한 사회가 지켜오던 규범이나 관습, 법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