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인간: 배부른 돼지냐 기개가 살아있는 인간이냐?

나반의 정원
나반의 정원 · 정치학과 국제 관계 및 불교에 관심
2022/12/31
ambition (무료이미지 픽사베이 2022.12.31)
2018년 12월 개봉한 <최후의 Z>(원 제목 Z for Zakaria)  이라는 영화를 본 적이 있다. 핵전쟁에서 살아남은 최후의 인간 세 사람의 이야기를 그린 상징성이 강한 영화였다.
   
여기서 인류 최후의 아담이라 할 수 있는 자카리아(유태교 성자의 이름)는 존(세례 요한)과 케일럽(유다의 후손) 이라는 이름의 두 남성으로 나온다. 앤이라는 여성은 최후의 여성 이브를 상징한다.

세 사람의 최후의 인간들은 한 여자와 두 남자 사이의 운명적인 대결과 실용이냐 신앙이냐 등 인간의 기본적 질문을 놓고 갈등을 벌인다. 인간은 세 사람만 있으면 필연적으로 갈등하는 존재임을 암시해 준다. 그러나 나는 극적인 걸 기대했는데 영화는 잔잔하고 좀 싱겁게 끝났다.
   
영화를 보고 나니 30년쯤 전에 세계적인 논쟁을 일으켰던 《역사의 종언과 최후의 인간》이란 책이 생각났다. 일본계 미국 정치학자 후쿠야마가 1989「역사의 종언」을 발표하고 낸 후속 저서이다.
   
역사의 종언과 최후의 인간(The Last Man)
   
책의 주제는 소련의 멸망과 공산권의 붕괴로 자유민주주의가 최종 승리함으로써 역사의 종언이 왔다는 것이었다. 그는 역사 철학의 두 기둥인 헤겔과 마르크스 그리고 그들의 후계자인 알렉상드르 코제브의 이론을 종합하여 역사를 움직여온 동력(動力)을 욕망 실현을 위한 경제발전 투쟁과 타인의 인정을 받기 위한 투쟁으로 분석했다. 

지금도 책의 큰 줄거리가 생각난다. 공산주의는 경제적 번영을 위한 투쟁에서 자유민주주의의 시장경제를 이길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타인의 인정을 위한 투쟁에서도 보편적 인권의 챔피언인 자유민주주의를 이길 수 없었다는 것이다. 당시 공산주의의 군사적 이념적 공세에 위협을 느끼던 자유 세계에서는 복음과 같이 반가운 소식이었고 공산권이 아직 망하기 직전에 쓴 글이라 세계적인 화제가 되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물론 이...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대학에서 국제 정치학과 정치 철학, 그리고 남북한 관계와 중국 문제를 연구하고 강의하였으며 대학 총장을 역임하였다. 금강경 연구, 원효와 백성욱 박사에 관한 논문을 쓴 불교 연구자이다. 본명은 정천구 이다.
267
팔로워 91
팔로잉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