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20
매우 그럴듯 하다고 생각합니다만,
현재의 K-콘텐츠의 인기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중동권, 유럽권, 동남아시아권, 남미권의 심상문화지리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권역에서 K-콘텐츠의 성공은 미국과 어느정도 거리두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결과적으로 K-콘텐츠의 성공은 문화적 '거리'라는 것을 모조리 없애버린 영상플랫폼의 업적이라는 생각도 들고요.
한편으로는, 진짜 이게 인기있는게 맞나...의심이 들기도 합니다.
마케팅에 속고 있는것 아닐까...속은 적이 한두번이 아니라 항상 의심이 가네요.
현재의 K-콘텐츠의 인기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중동권, 유럽권, 동남아시아권, 남미권의 심상문화지리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권역에서 K-콘텐츠의 성공은 미국과 어느정도 거리두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결과적으로 K-콘텐츠의 성공은 문화적 '거리'라는 것을 모조리 없애버린 영상플랫폼의 업적이라는 생각도 들고요.
한편으로는, 진짜 이게 인기있는게 맞나...의심이 들기도 합니다.
마케팅에 속고 있는것 아닐까...속은 적이 한두번이 아니라 항상 의심이 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