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초보 엄마의 수학공부] 수학적으로 참인 명제에 대한 직관

다음 글은 수학의 즐거움 채널에서 진행 되는 왕초보 엄마의 수학공부 에서 다룬 이야기들 중에 정리한 것입니다. 

수학을 공부한다고 했을 때 문장을 수학적으로 명제를 만들어야 된다는 것은 참과 거짓, 혹은 흑백으로서 명료하게 명료하게 이 문장은 맞다, 이 문장은 틀리다로 간결한 문장으로 만들면 수학적인 앎이 됩니다.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고를 수학에서는 원하지 않고, 관찰을 토대로 해서 아웃풋으로 만들어내야 되는 것은 내가 하고 있는 관찰이 이런 문장을 말하는 것이다. 말씀드리는 이 문장이라는 것은 옳은 문장이라는 의미가 아니구요. 옳고 그름이 명료한 문장이라는 의미인 겁니다.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를 원하는 게 아닙니다. 예컨대 수학 초보님께서 말씀해 주신 것과 같이 "내가 생각하는 숫자의 덧셈과 행렬의 곱셈이라는 거는 다른 거 같아" 이런 문장이 전형적인 수학적인 문장, 즉 명제에 해당하는 예시가 되는 거에요. 내가 알고 모르고는 그 다음 문제이고, 수학적으로 만들어야 되는 문장이 되어서 같은 근거를 대야 하죠. 이것을 증명이라고 수학과에선 얘기를 합니다. 그리고 그렇지 않으면 그렇지 않다는 근거도 제시를 해야 돼요. 하지만 보통 수학에서는 모든 문장들이 맞는 얘기를 하겠죠. 

조금만 더 이 부분을 얘기를 하고 각자의 생각들을 같이 대화를 해보고 싶은데요. 수학적으로 왜 맞는 문장들만 써야 되냐면 틀린 문장을 쓰면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무슨 말이냐면 여기 어머님들이 몇 분 계시잖아요. 초등학생 정도 되는 아이가 있다고 했을 때 아이가 공부를 안 해가지고 공부를 시키고 싶어요. 혹은, 다이어트가 어려운데 다이어트를 시키고 싶어요. 그러면 어떻게 합니까? 보상을 아이에게 줍니다. 이거 하면 이거 해줄게. 이것이 아주 전형적으로 써먹는 수학...
수학의 즐거움
수학의 즐거움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미국에서 수학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일을 업으로 살고 있습니다. 아기 아빠 입니다. 유튜브 '수학의 즐거움, Enjoying Math'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94
팔로워 1.5K
팔로잉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