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심당 대전역점 '수수료 논란' 어디서 왔나 Oh Ay

트렌드라이트
트렌드라이트 인증된 계정 · 깊이 있는 커머스 인사이트를 전합니다
2024/06/05
진짜 문제의 본질적인 원인은 사실 따로 있습니다
design by 슝슝 (w/DALL-E)
아래 글은 2024년 06월 05일에 발행된 뉴스레터에 실린 글입니다.
전체 뉴스레터를 보시려면 옆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뉴스레터 보러 가기]


수수료 논란의 주요 쟁점은

 성심당 대전역점의 재계약을 둘러싼 수수료 논란이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가장 침예하게 의견이 엇갈리는 건, 결국 월 입점 수수료 금액인데요. 코레일유통은 적어도 내부 규정에 따른 최저 수수료인 17%에 맞춰 4억 4천만 원을 받아야 한다고 하는 반면, 성심당은 기존 금액이 1억 3천여 만원 가량이었는데, 이를 갑자기 4배 가까이 올리는 것은 부당하다는 입장입니다. 현재 해당 매장 자리에 대한 공개 입찰은 4차례나 유찰되어, 현재 5차 입찰이 진행 중인데요. 성심당은 여기에 참여는 하되 기존 수수료에 준하는 금액을 낸다고 밝힌 상황이라, 끝내 대전역을 떠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사실 여론은 초기부터 지금까지 성심당에 대체로 우호적이었습니다. 코레일유통이 요구한 수수료는 연 50억 원 수준으로, 그 금액을 내느니 차라리 근처에 새로 매장을 내는 것이 나을 정도였기 때문인데요. 더욱이 성심당이 그간 쌓아온 선한 브랜드 이미지도 대중들의 우호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는 데 한몫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조금씩 성심당을 탓하는 의견들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아무리 성심당이라 할지라도 원칙은 지켜야 하며, 특혜성 지원은 경계해야 한다는 논리인데요. 더욱이 얼마 전 성심당이 파리크라상과 CJ푸드빌을 제친 영업이익 실적으로 화제가 되었던 터라, 그만큼 잘 벌면 충분히 수수료를 감당할 수 있지 않냐는 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사실 악역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우선 초기 기사들의 논조처럼 코레일유통을 무작정 악덕 기업으로 몰고 가는 것은 부당합니다. 이들은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국내 최대 규모의 커머스 버티컬 뉴스레터로, '사고 파는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매주 수요일 아침, 가장 신선한 트렌드를 선별하여, 업계 전문가의 실질적인 인사이트와 함께 구독자분들의 메일함으로 전해드립니다.
151
팔로워 215
팔로잉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