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1/30
현안님 덕에 얼룩커 분들이 답례의 사진전을 이어주고 계시네요.^^ 언젠가 에디터님이 '노동요'를 모았던 글을 보는 것 같아요. 이 비대면 갤러리 덕분에 제주의 다른 풍경들도 엿보고, 다른 섬인 울릉도로 이동하고... 잠시 들러 이렇게 한 호흡 쉬었다 갈 수 있으니 참 좋습니다.
지금 한강 소설가의 "작별하지 않는다"라는 소설을 읽고 있어요. 제주 '4.3’을 통해서 '지극한 사랑'을 이야기한 작가의 신작 장편소설인데요. 저는 똥손이라 딱히 사진 찍는 기술은 없고(이렇게 말하면 똥에게 미안할 정도로 ㅠㅠ), 대신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 '제주의 땅'과 관련한 자료들이 나와서요. 혹여 관심이 있는 분들과 그 목록을 공유할까 합니다. 언젠가 모 평론가가 슬픔에 대해 '공부'해야 하는 이유를 이야기하며, 한강 소설가를 거론한 적이 있어요. 지난 주 한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그 글의 일부를 읽어주었습니다. 비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그 동영상 수업의 끄트머리에서 저는 학생들에게 책의 한 구절을 낭독해주곤 하는데요. 학내 시스템에서 90%까지만 영상을 시청하면 출석 인정이 되는지라, 아마 이 부분을 못 들은 학생도 많을 거 같습니다. 고속으로 동영상 수업을 감아 듣다가, 출석 인정구간만 지나면 다른 수업으로 신속히 넘어가야 하니까요.
비록 패스하기 일쑤인 10%의 구간에 있는 글이지만요. 여기에 있는 분들 중 누군가는 들어주시지 않을까 싶어 한번 올려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폭력에 대한 감수성
지금 한강 소설가의 "작별하지 않는다"라는 소설을 읽고 있어요. 제주 '4.3’을 통해서 '지극한 사랑'을 이야기한 작가의 신작 장편소설인데요. 저는 똥손이라 딱히 사진 찍는 기술은 없고(이렇게 말하면 똥에게 미안할 정도로 ㅠㅠ), 대신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 '제주의 땅'과 관련한 자료들이 나와서요. 혹여 관심이 있는 분들과 그 목록을 공유할까 합니다.
비록 패스하기 일쑤인 10%의 구간에 있는 글이지만요. 여기에 있는 분들 중 누군가는 들어주시지 않을까 싶어 한번 올려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폭력에 대한 감수성
다시, 폭력에 대해 말해야겠다. 언젠가 '폭력'이라는 말의 외연은 가급적 넓히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밝히면서 나는 폭력을 다음과 같이 폭넓게 ...
에고.. 댓글이라 못 읽고 지나치실 거 같았는데 읽으셨네요. 역쉬 부지런하심..^^
당분간 이 곳에 못 들어올지 모르겠어요. 요즘 너무 기운이 없어서 가벼운 마음으로 이것저것 적는 습관을 들여보려 했었는데, 신체 컨디션이 안 좋아지다보니 그렇게 부담없이 글을 쓴다는 게 또 쉽지 않아졌네요. ㅠㅠ 오늘 수업에서도 넋 놓고 있다가 생전 안 하던 실수를 했어요.. ㅠㅠ
제가 그동안 말할 수 있는 것만 말해왔던 거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현안 님의 글 때문이 아니고요, 오래 전부터 하고 있던 생각이에요.. 한 이십 년 정도…
녹용까지 넣은 보약을 먹고 있으니 곧 나아지겠죠.^^ 성인이 되기 전까진 정육점만 지나가도 머리가 어지럽던 채식주의자였는데.. 살다보니 이젠 녹용도 먹고 육고기도 챙겨 먹곤 합니다. 그 피흘렸던 살점들로 간신히 버티고 있는 게 아닌가, 미안하게 생각하면서요.
선명하고 일관되게 산다는 게 가장 어려운 과제 같아요. 그냥 무수한 경계 위를 고무줄놀이 하면서, 저는 그 어딘가에서 방황하며 살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따뜻한 말씀 감사해요. 여러가지로 위로가 되었어요..
이제야 댓글을 봤네요. 예전에 여성들이 일상적으로 겪는 공포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 저보다 더 큰 아픔을 겪은 분들은 말을 꺼내기 어렵겠구나, 준비가 되어있지 않을 수도 있겠구나, 그렇다면 글을 괜히 쓴 건 아닐까 죄책감에 좀 시달렸어요. 어느 날 이끌리듯 쓴 글이었는데, 그 글이 파장을 불러일으킬 줄 몰랐어요. 보편적이지 않다는 누군가의 결론에 너무 화가나서 제가 좀 흥분하기도 했고요. 제 행동이 좀 가벼웠다면, 행여나 아픈 기억을 건드린 게 됐다면 정말 죄송해요. 어려운 것 같아요. 상처는 꺼내보여야 낫는다고 믿고 있긴 하지만 그게 제 얘기만이 아니라 다른 이의 얘기까지 꺼내는 구조가 될 때 저는 상처를 오히려 덧냈다는 죄책감을 벗어나기 힘들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럼에도 문제는 양지로 끌고 나와야 한다고 생각되기도 하고요.
제주 정착기는 제주가 아름답기만 한 땅은 아니라는 이야기를 해보고 싶어서 시작하게 됐어요. 제주를 아름답다고만, 비싼 물가의 관광지로만 기억하는 게 제게는 너무 속상한 일이었어요. 또 쓰다보니 너무 우울해진 것 같아 죄책감을 또 느끼네요;; 아 전 자꾸 왜 이럴까요.
말씀해주신 ‘고통은 나눌 수 있는가’ 책 꼭 읽어봐야겠어요. 제게 어쩌면 지금 꼭 필요한 책일 수도 있다는 예감이 드네요.
긴 댓글 정말 감사해요. 본글도 그렇고 이 댓글도 제게 많은 물음표를 던져주셨어요. 진심으로 감사해요. 그리고 진지해져도 괜찮아요. 저도 진지충이에요. 하하 진지한 이야기만 나누기에도 우리에게는 시간이 짧잖아요. 언제든 괜찮아요. 넘 감사해요.
네. 저도 한강 작가의 이번 소설을 너무 아프게 읽었어요. 쉬면서 쉬어가면서, 읽었다 덮었다를 반복했던 거 같아요. 4.3이란 시간에 대한 정명이 그러하듯이, 줄거리로 요약될 수 없는 감정적 잔여가 어른대서 독서 자체가 너무 힘들더라고요.
실은 제가 예전에 '여성의 불안감(?)'에 대해 쓰신 현안 님의 글을 읽고 비슷한 감정을 느낀 적이 있어요. 답글들을 읽고, 저도 댓글로 제 경험을 이어 쓰다가 너무 구체적으로 쓰게 되는 것 같아 중간에 그만 두었어요. 저에게 말할 수 있는 것과 아직 말하기 어려운 것들이 있음을 느끼고 있거든요. 저를 덜 괴롭히는 방향으로 다독이면서 마음의 평화를 우선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다른 지면에 비슷한 성격의 글을 쓰려고 마음 먹었다가 번민이 많아지기도 했고요.
이상하게도 저는 당사자의 에세이보다는 가공된 소설이나 제작된 시 장르를 좀더 편하게 읽는 편인 거 같아요. 텍스트 뒤에 실물 사람이 어른대면 자꾸 그 사람이 처한 상황을 자세하게 떠올리곤 하는데요. 힘들어하는 당사자들의 경험을 들으면 감정 이입이 심하게 되고, 자주 전이되는 편이라서... 글을 객관화시켜 말하는 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 같습니다. 일을 잘 하려면 냉철해져야 하는데 말이죠.ㅠㅠ
엄기호 선생님의 "고통은 나눌 수 있는가"라는 책을 저는 참 아끼는 편인데요. 그 책을 읽고, 다 말해질 수 없는 고통을 글의 형태로 재현하려고 너무 애쓰지는 말아야겠다, 생각하게 되었어요. 제 특유의 민감함과 슬픔에의 공부가 현재의 삶과 제 '곁'의 동료들을 과도하게 파괴해서는 안된다는 생각도 했었고요. 나란 사람이 이만큼 섬세한 감수성을 가지고 있다 드러내는 게, 언젠가는 저를 전시하면서 파괴하는 일처럼 느껴진 적도 있었어요. 저라는 사람의 심약한 성정을 돌보는 일이 지금 시점에서는 더 필요하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떤 가치도 생을 유지하는 것보다는 소중하지 않을 거라 위로하면서요.
비슷한 성정을 가진 것 같은(?) 현안 님은 제주의 풍경을 글을 통해서도 연재해주고 계시더라고요. 자신의 성정을 다독이는 글을 누구보다 잘 쓰실 거 같습니다. 사진과는 또 다른 느낌의 글이었어요. 여기까지 다시 찾아와서 과거의 댓글들을 보시진 않겠지만요. 당사자의 경험을 통해 더 섬세해지는 글들을 멀리서도 응원하고 있다고 말씀 드립니다. 현안님 연재 글 아래 답글을 달면, 한창 핫한 분위기가 살짝 다크해질 것 같아서요. (진지함 유발자가 되지 않으려고 목하 노력 중이거든요.^^) 노출이 거의 안되는 댓글 형태로 이야기하게 되었습니다.
시간이 지나 이 댓글을 보실 분이 거의 없을 거라 생각하니, 감정을 좀더 솔직하게 표현하게 되네요.^^ 현안 님의 연재 글에 대한 감상을 구석탱이에 소심하게 적어보고요. 더 예전에 읽었던 어떤 글에 대한 부채감까지도 그 옆에 같이 적어둡니다.
저는 제주에 애증을 갖고 있어요. 사랑하지만 힘겹기도 한 곳이죠. 그 애증에는 4.3도 들어있어요. 한강 작가님의 책은 정말 읽고 싶지만 선뜻 용기를 못내고 있어요. 제 얘기 같아서. 제주도민으로 살다보니 제주의 아픔을 제 아픔처럼 느끼게 된 것 같아요. 그래서 너무 아플까봐 못 읽고 있었어요.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 인용해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너무 아픈 책을 잘 읽지 못하는 제가 가끔 스스로도 별나다 싶지만 사실 저같은 사람이 있어서 세상은 좀더 섬세해지는 것 같기도 해요. 그런 글을 한번 써볼까 싶었는데 이 글을 만났네요. 저도 읽어봐야겠어요. 글 정말 감사해요. 사진 하나 올렸다가 더 큰 선물들을 잔뜩 받아 몸둘바를 몰라 하고 있네요.
저는 제주에 애증을 갖고 있어요. 사랑하지만 힘겹기도 한 곳이죠. 그 애증에는 4.3도 들어있어요. 한강 작가님의 책은 정말 읽고 싶지만 선뜻 용기를 못내고 있어요. 제 얘기 같아서. 제주도민으로 살다보니 제주의 아픔을 제 아픔처럼 느끼게 된 것 같아요. 그래서 너무 아플까봐 못 읽고 있었어요.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 인용해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너무 아픈 책을 잘 읽지 못하는 제가 가끔 스스로도 별나다 싶지만 사실 저같은 사람이 있어서 세상은 좀더 섬세해지는 것 같기도 해요. 그런 글을 한번 써볼까 싶었는데 이 글을 만났네요. 저도 읽어봐야겠어요. 글 정말 감사해요. 사진 하나 올렸다가 더 큰 선물들을 잔뜩 받아 몸둘바를 몰라 하고 있네요.
에고.. 댓글이라 못 읽고 지나치실 거 같았는데 읽으셨네요. 역쉬 부지런하심..^^
당분간 이 곳에 못 들어올지 모르겠어요. 요즘 너무 기운이 없어서 가벼운 마음으로 이것저것 적는 습관을 들여보려 했었는데, 신체 컨디션이 안 좋아지다보니 그렇게 부담없이 글을 쓴다는 게 또 쉽지 않아졌네요. ㅠㅠ 오늘 수업에서도 넋 놓고 있다가 생전 안 하던 실수를 했어요.. ㅠㅠ
제가 그동안 말할 수 있는 것만 말해왔던 거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현안 님의 글 때문이 아니고요, 오래 전부터 하고 있던 생각이에요.. 한 이십 년 정도…
녹용까지 넣은 보약을 먹고 있으니 곧 나아지겠죠.^^ 성인이 되기 전까진 정육점만 지나가도 머리가 어지럽던 채식주의자였는데.. 살다보니 이젠 녹용도 먹고 육고기도 챙겨 먹곤 합니다. 그 피흘렸던 살점들로 간신히 버티고 있는 게 아닌가, 미안하게 생각하면서요.
선명하고 일관되게 산다는 게 가장 어려운 과제 같아요. 그냥 무수한 경계 위를 고무줄놀이 하면서, 저는 그 어딘가에서 방황하며 살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따뜻한 말씀 감사해요. 여러가지로 위로가 되었어요..
이제야 댓글을 봤네요. 예전에 여성들이 일상적으로 겪는 공포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 저보다 더 큰 아픔을 겪은 분들은 말을 꺼내기 어렵겠구나, 준비가 되어있지 않을 수도 있겠구나, 그렇다면 글을 괜히 쓴 건 아닐까 죄책감에 좀 시달렸어요. 어느 날 이끌리듯 쓴 글이었는데, 그 글이 파장을 불러일으킬 줄 몰랐어요. 보편적이지 않다는 누군가의 결론에 너무 화가나서 제가 좀 흥분하기도 했고요. 제 행동이 좀 가벼웠다면, 행여나 아픈 기억을 건드린 게 됐다면 정말 죄송해요. 어려운 것 같아요. 상처는 꺼내보여야 낫는다고 믿고 있긴 하지만 그게 제 얘기만이 아니라 다른 이의 얘기까지 꺼내는 구조가 될 때 저는 상처를 오히려 덧냈다는 죄책감을 벗어나기 힘들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럼에도 문제는 양지로 끌고 나와야 한다고 생각되기도 하고요.
제주 정착기는 제주가 아름답기만 한 땅은 아니라는 이야기를 해보고 싶어서 시작하게 됐어요. 제주를 아름답다고만, 비싼 물가의 관광지로만 기억하는 게 제게는 너무 속상한 일이었어요. 또 쓰다보니 너무 우울해진 것 같아 죄책감을 또 느끼네요;; 아 전 자꾸 왜 이럴까요.
말씀해주신 ‘고통은 나눌 수 있는가’ 책 꼭 읽어봐야겠어요. 제게 어쩌면 지금 꼭 필요한 책일 수도 있다는 예감이 드네요.
긴 댓글 정말 감사해요. 본글도 그렇고 이 댓글도 제게 많은 물음표를 던져주셨어요. 진심으로 감사해요. 그리고 진지해져도 괜찮아요. 저도 진지충이에요. 하하 진지한 이야기만 나누기에도 우리에게는 시간이 짧잖아요. 언제든 괜찮아요. 넘 감사해요.
네. 저도 한강 작가의 이번 소설을 너무 아프게 읽었어요. 쉬면서 쉬어가면서, 읽었다 덮었다를 반복했던 거 같아요. 4.3이란 시간에 대한 정명이 그러하듯이, 줄거리로 요약될 수 없는 감정적 잔여가 어른대서 독서 자체가 너무 힘들더라고요.
실은 제가 예전에 '여성의 불안감(?)'에 대해 쓰신 현안 님의 글을 읽고 비슷한 감정을 느낀 적이 있어요. 답글들을 읽고, 저도 댓글로 제 경험을 이어 쓰다가 너무 구체적으로 쓰게 되는 것 같아 중간에 그만 두었어요. 저에게 말할 수 있는 것과 아직 말하기 어려운 것들이 있음을 느끼고 있거든요. 저를 덜 괴롭히는 방향으로 다독이면서 마음의 평화를 우선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다른 지면에 비슷한 성격의 글을 쓰려고 마음 먹었다가 번민이 많아지기도 했고요.
이상하게도 저는 당사자의 에세이보다는 가공된 소설이나 제작된 시 장르를 좀더 편하게 읽는 편인 거 같아요. 텍스트 뒤에 실물 사람이 어른대면 자꾸 그 사람이 처한 상황을 자세하게 떠올리곤 하는데요. 힘들어하는 당사자들의 경험을 들으면 감정 이입이 심하게 되고, 자주 전이되는 편이라서... 글을 객관화시켜 말하는 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 같습니다. 일을 잘 하려면 냉철해져야 하는데 말이죠.ㅠㅠ
엄기호 선생님의 "고통은 나눌 수 있는가"라는 책을 저는 참 아끼는 편인데요. 그 책을 읽고, 다 말해질 수 없는 고통을 글의 형태로 재현하려고 너무 애쓰지는 말아야겠다, 생각하게 되었어요. 제 특유의 민감함과 슬픔에의 공부가 현재의 삶과 제 '곁'의 동료들을 과도하게 파괴해서는 안된다는 생각도 했었고요. 나란 사람이 이만큼 섬세한 감수성을 가지고 있다 드러내는 게, 언젠가는 저를 전시하면서 파괴하는 일처럼 느껴진 적도 있었어요. 저라는 사람의 심약한 성정을 돌보는 일이 지금 시점에서는 더 필요하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떤 가치도 생을 유지하는 것보다는 소중하지 않을 거라 위로하면서요.
비슷한 성정을 가진 것 같은(?) 현안 님은 제주의 풍경을 글을 통해서도 연재해주고 계시더라고요. 자신의 성정을 다독이는 글을 누구보다 잘 쓰실 거 같습니다. 사진과는 또 다른 느낌의 글이었어요. 여기까지 다시 찾아와서 과거의 댓글들을 보시진 않겠지만요. 당사자의 경험을 통해 더 섬세해지는 글들을 멀리서도 응원하고 있다고 말씀 드립니다. 현안님 연재 글 아래 답글을 달면, 한창 핫한 분위기가 살짝 다크해질 것 같아서요. (진지함 유발자가 되지 않으려고 목하 노력 중이거든요.^^) 노출이 거의 안되는 댓글 형태로 이야기하게 되었습니다.
시간이 지나 이 댓글을 보실 분이 거의 없을 거라 생각하니, 감정을 좀더 솔직하게 표현하게 되네요.^^ 현안 님의 연재 글에 대한 감상을 구석탱이에 소심하게 적어보고요. 더 예전에 읽었던 어떤 글에 대한 부채감까지도 그 옆에 같이 적어둡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