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큰 도시는 과연 더 큰 용광로일까? - 대도시의 사회경제적 분리 수준을 보인 연구
2023/12/03
흔히, 도시를 인간의 최고의 발명품이라고 한다. 사람들이 모여들어 사회 경제적인 시스템을 만들어내고, 집단 규모의 상거래 및 사회 시스템을 통해 개개인에게 필요한 자원과 정보를 공급한다. 이 플랫폼의 힘은 도시에 모여든 인구 규모가 크면 클수록 더욱 더 강력해지는 초선형의 증가패턴, 그러니까 단순한 개개인의 총합을 뛰어넘는다는 양적 증거로 발견된다. 그러니까 더 높은 인구밀도, 더 높은 인구규모가 도시의 강력한 파워를 만들어내는 원천이라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시는 사회경제적 분리 수준을 줄이는 혼합의 공간으로써도 주목받아왔다. 한 사회 내에서 일어나는 사회경제적인 분리는 계층 이동성을 줄이고, 경제적 정치적 양극화의 원인이 되며, 사회 유지에 어마어마한 비용을 초래하는 재앙적인 현상이다. 그러니까 사회경제적 분리 수준을 줄이는 건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해서라면 꼭 필요한 조치인데, 여기에 도시가 하는 역할이 있다는 것이다. 도시, 특히 거대한 도시에서는 다양한 국적의 다앙한 사회경제적 위치를 지닌 사람들이 물리적으로 한정된 공간 속에서 살아가며, 이동과 활동, 그리고 우연한 만남을 형성하며 살아간다. 이러한 물리적인 섞임이 다양한 사회구성원을 혼합시키는 믹싱볼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최근 게재된 한 뜨끈뜨끈한 연구에서는 더 큰 도시에서 더 많은 사회경제적 혼합이 일어날 것이라는 주장이 실제로는 그러하지 못하다는 것을 방대한 데이터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도시는 사회경제적 분리 수준을 줄이는 혼합의 공간으로써도 주목받아왔다. 한 사회 내에서 일어나는 사회경제적인 분리는 계층 이동성을 줄이고, 경제적 정치적 양극화의 원인이 되며, 사회 유지에 어마어마한 비용을 초래하는 재앙적인 현상이다. 그러니까 사회경제적 분리 수준을 줄이는 건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해서라면 꼭 필요한 조치인데, 여기에 도시가 하는 역할이 있다는 것이다. 도시, 특히 거대한 도시에서는 다양한 국적의 다앙한 사회경제적 위치를 지닌 사람들이 물리적으로 한정된 공간 속에서 살아가며, 이동과 활동, 그리고 우연한 만남을 형성하며 살아간다. 이러한 물리적인 섞임이 다양한 사회구성원을 혼합시키는 믹싱볼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최근 게재된 한 뜨끈뜨끈한 연구에서는 더 큰 도시에서 더 많은 사회경제적 혼합이 일어날 것이라는 주장이 실제로는 그러하지 못하다는 것을 방대한 데이터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관련 연구 - Urban scaling laws arise from within-city inequalitie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62-022-01509-1
"집적 효과가 도시 엘리트에게 가장 큰 혜택을 주고, 대부분의 도시 거주자는 성장하는 도시의 사회 경제적 혜택에서 부분적으로 제외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저자들은 도시 생산성, 혁신, 사회적 연결성에 대한 대규모 데이터와 광범위한 수학적 모델링을 사용하여 멱함수 법칙 도시 확장 법칙이 도시 불평등에서 발생함을 보여줍니다."
@rikardo 와.. 인사이트 가득한 댓글 감사합니다!
@윤신영 이미 알고계셨군요! 정말 넓은 범위를 다루시는 것 같습니다. 전 제 흥미 분야만 겨우 따라가기 바쁜데 말이죠..ㅎㅎ 관련주제로 글 써주신다면 감사히 읽겠습니다!
@JACK alooker 정말 그렇습니다. 사회의 분리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결정화 또한 연장선상에서 보아야 할 문제인 것 같아요
sns가 활성화되면서 느슨한 인맥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에코챔버가 발생하는 것도 (알고리즘 문제도 있지만) 비슷한 이유이지 않을까 싶네요.
규모가 작을땐 다르거나 싫더라도 모두가 연결되어야 필요한 사회적 기능들이 채워지는데,
규모가 커지면 비슷하거나 좋아하는 사람들로만 채워도 사회적 기능이 충독되니....
우와. 잘 읽었습니다! 안 그래도 이 연구 다뤄보고 싶었는데, 진짜 전문가이신 @몬스 님께서 잘 다뤄주신 것 같습니다. :)) 도시에서 사회경제적 분리와 혼합은 계획 차원에서도 참 많이 논의됐던 주제이고 물리학적으로도 다뤄질 수 있는 주제일텐데, 이렇게 실증 연구를 통해 확인하니 의미가 큰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관련 주제를 더 찾아보고 싶은 생각도 드네요.
도시의 고독사 증가 문제도 @몬스 님 언급하신 개인 결정화에 따른 문제일 수 있는만큼, 다양한 관점에서 세밀히 바라볼 필요가 있겠네요.👍
sns가 활성화되면서 느슨한 인맥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에코챔버가 발생하는 것도 (알고리즘 문제도 있지만) 비슷한 이유이지 않을까 싶네요.
규모가 작을땐 다르거나 싫더라도 모두가 연결되어야 필요한 사회적 기능들이 채워지는데,
규모가 커지면 비슷하거나 좋아하는 사람들로만 채워도 사회적 기능이 충독되니....
@JACK alooker 정말 그렇습니다. 사회의 분리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결정화 또한 연장선상에서 보아야 할 문제인 것 같아요
우와. 잘 읽었습니다! 안 그래도 이 연구 다뤄보고 싶었는데, 진짜 전문가이신 @몬스 님께서 잘 다뤄주신 것 같습니다. :)) 도시에서 사회경제적 분리와 혼합은 계획 차원에서도 참 많이 논의됐던 주제이고 물리학적으로도 다뤄질 수 있는 주제일텐데, 이렇게 실증 연구를 통해 확인하니 의미가 큰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관련 주제를 더 찾아보고 싶은 생각도 드네요.
도시의 고독사 증가 문제도 @몬스 님 언급하신 개인 결정화에 따른 문제일 수 있는만큼, 다양한 관점에서 세밀히 바라볼 필요가 있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