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달러는 미국 경제 침체와 주가 하락세로 연결될 수 있을까?

김선태
김선태 인증된 계정 · 경제 금융시장 분석, K-이코노미스트
2024/05/29

달러화와 MMF의 관계

코로나 팬테믹 직전 10여년 간 89.09에 머무르던 달러화 지수의 평균치가 팬데믹 이후 ‘22년 이후의 평균치는 103.7로 올라가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달러화는 이전에 비해 약 16% 절상된 채로 높은 수준에서의 움직임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에는 강달러 환경이 펼쳐지면 미국 기업들의 이익률이 저하되고 경제 불확실성이 커져 주가는 약세 압력을 받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하지만 팬데믹 이후에는 강달러가 장기화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상승하는 현상이 오랫동안 이어지고 있다. 
이 같이 달러 강세가 장기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주가 상승세가 지속하고 있는데에는 미국경제의 생산이 높아졌고 미국경제 자체가 코로나 이후 금리상승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IT 및 서비스 중심으로 구조적 전환이 진행...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연구소, 증권 및 은행 리서치 파트에서 30년 가까이 실물경제 및 금융시장 분석 업무를 수행하였다. 지금 까지의 경험을 바탕으로 재테크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시장(주가, 금리, 환율) 예측’에 관련된 글과 이와 연관된 ‘금융시장 뒷 얘기’도 쓰고자 한다.
141
팔로워 150
팔로잉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