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의 도전들 - 페미니스트와의 대화

바움다후 · 페미니스트
2023/10/31
정희진, <페미니즘의 도전>

앞으로의 도전들 - 페미니스트와의 대화
 
인터뷰 과정에서 어떠한 질문을 하는지, 또는 어떤 식으로 인터뷰 내용을 번역하는지에 따라 프로젝트의 질과 유효성이 매우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느껴 왔다. 인터뷰하는 동안에 후회할 만한 엉뚱한 질문을 던진 적도 많았었고, 결국 인터뷰 테크닉에 관한 많은 것을 배웠다. 하지만 이 부분에서는 향후 좋은 번역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이라는 도전에 중점을 둔다. 이번 학기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개설된 송은주 교수의  <번역사 이론>을 청강하면서 공부해 온 탈식민주의 번역 이론과 함께 ‘좋은 번역’의 몇 가지 기준들을 언급하고자 한다.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이론가 가야트리 스피박(Gayatri Spivak)은「번역의 정치(The Politics of Translation)」라는 에세이에서 서구 페미니스트 번역가들이 져야 할 ‘의무’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여성들이 자동적 공통점을 갖고 있다고 추정하기보다는, 겸손하고 실용적으로 ‘연대를 이해하는 데에 첫 번째의 의무는 그녀의 모국어를 배우는 것이다’라고 말하는 게 어떨까.”[1] 따라서 스피박은 “번역가는 원본의 ‘지형’에 대한 엄격한 판단력을 가져야 한다”고 말하며, 이리하여 그는 “제3세계 여성의 글이 모두 좋다는 인종 차별적 가정에 맞설 수 있다”고 설명한다.[2]「번역의 정치」를 통해 한국어 번역을 하기 위해 한국어 능력과 한국 역사 인식을 키우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각인하게 되었다. 

앞으로 인터뷰 내용을 영어로 번역할 때 로렌스 베누티(Lawrence Venuti)의 이론이 자주 상기될 것 같다. 베누티는 영미(英美)의 지배적 번역 시스템을 비판하며, 번역문을 정치적 의제를 진전하기 위한 문화 상품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베누티는 영미에서 진행되는 번역 과정의 정치적 조건과 결과들을 살펴본다. 이와 대조적으로 기데온 투리(Gideon Toury...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한국에서 여자로 살아요.
64
팔로워 200
팔로잉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