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숙한 사람을 알아보기 (3) 감정을 나누지 않는 사람들

김영혁
김영혁 인증된 계정 ·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2023/08/21
혹시 애착(attachment)이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 있으실까요? 여러 분야에서 인용되는 단어이다 보니 흔하게 들어보신분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반적으로 애착은 아이가 양육자와 형성하는 친밀한 정서적 관계를 의미합니다. 아이가 엄마를 믿고 사랑하는 것, 엄마도 아이를 믿고 사랑하는 것, 엄마가 아이를 사랑하는 것을 서로 알고있는 것, 그리고 그관계가 모두를 뭉클하게 만드는 것이 전부 애착관계에 해당합니다.

짐작하시겠지만 건강한 애착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영국의 정신과 의사인 존 볼비(John Bowlby)는 어린시절에 경험하는 애착 형성이 인간 성격의 중요한 기본이 된다고 보았습니다. 애착이 건강하게형성되지 않으면 어린시절 뿐 아니라 성장한 이후에도 여러가지 정서적인 어려움은 물론, 더 나아간다면 정신건강의학과적 질병까지 생길 수도 있다는 겁니다. 볼비의 이론은 이후 에인즈워스(Mary Ainsworth)의 연구로 이어지게 되는데, 볼비와 에인즈워스는 서로 교류를 계속하며 애착이론을 정립하게 됩니다.
John Bowlby (1907 ~ 1990)
애인즈워스는 1963년 그 유명한 낯선상황실험(Strange Situation Experiment) 실험을 계획합니다. 이 실험에서 생후 12개월의 유아들은 엄마와 함께 장난감으로 가득찬 방으로 안내됩니다. 아이들이 방 안에서 마음껏 장난감을 가지고놀고 있으면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정신분석에 많은 관심이 있습니다. 심리학에 대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접근을 좋아합니다. 아마추어개발자로 불면증인지행동치료 앱 ‘쿨쿨‘을 개발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책이 아니라 현실의 관점에서 정신분석과 심리학을 바라보려고 합니다.
5
팔로워 27
팔로잉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