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지마범죄 트라우마는 전염병처럼 퍼진다

김양균
2024/05/23
나는 불량품입니까⑥

프롤로그
①투명인간이 보일때 생기는 일
②정신장애인은 고독하다
③“박수정을 찾아라”
➃사건마다 사법입원제 이야기가 나왔다
⑤묻지마범죄는 정신질환과 연결? 그렇기도 아니기도 
사진=김양균
(묻지마범죄에 대해 집필 중이다. 글은 초안 중 일부다.) 
   
2024년 4월 26일.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내 국가트라우마센터 사무실. 심민영 센터장과의 인터뷰 중에서.

-묻지마범죄 발생 원인 중에서 정신건강적 요인은 무엇입니까?
   
“종종 외래에서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높은 수준의 분노를 표출하는 환자를 발견하곤 합니다. 분노의 원인이 불분명한데 그 공격의 상태는 타인이 됩니다. 예를 들면 내 일이...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김양균
김양균 인증된 계정
의학기자
여러 의미의 건강에 대해 쓴다. 전자책 <팔레스타인의 생존자들>, <의사 vs 정부, 왜 싸울까?>, <결말을 알고 있는 이야기>를 썼다.
45
팔로워 1.2K
팔로잉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