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 아니어도, 우리 서로 반려할 수 있을까?
2023/09/11
17화 <가족이 아니어도, 우리 서로 반려할 수 있을까?> by 이한
벌거 벗은 남자들 : 새로 쓰는 남성 섹슈얼리티
• 이 프로젝트는 기존 남성 섹슈얼리티의 재탕이 아니라, 새로 쓰는 남성 섹슈얼리티다.
• 편견과 왜곡, 위계와 대상화로 가득한 남성 섹슈얼리티의 실체를 고발하고 비판해야 한다.
• 그 자리를 더 나은 질문과 고민을 통과한 남성 섹슈얼리티의 탐구로 채워야 한다.
• 그러기 위해서는 남성의 내부고발, 실제적인 경험, 고민과 성찰이 필요하다.
* 이 글에는 인터넷 용어 또는 혐오 표현을 직접 인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나, 차별과 혐오의 재생산이 아닌 비판에 그 목적이 있으며, 가급적 사용을 지양하려 노력하였음을 미리 밝힙니다.
__
‘벌거 벗은 남자들’ 이번 주제는 바로 ‘반려’다.
‘벌거 벗은 남자들’ 이번 주제는 바로 ‘반려’다.
다양한 반려를 둘러싸고 남함페 활동가 4인이 제각각의 이야기를 펼쳐가려고 한다. 지금까지 섹슈얼리티를 이야기 하다 말고 갑자기 왠 반려? 싶을 수 있겠지만, 사실 반려는 제법 섹슈얼한 단어다. 일단 흔히 이야기하는 반려인부터 그렇다. 단지 ‘여자친구’, ‘남자친구’, ‘애인’으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 미래를 기약하게 만드는 그 진지함이 섹시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런가하면 이런 섹시함을 떠올리며 ‘반려가전’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하기도 했다. 바로 바이브레이터를 비롯한 자위기구를 부르는 애칭이다. 그 밖에도 반려동물, 반려가구, 반려식물 등 다양한 반려 파생 이야기가 있지만, 개중에서도 오늘 꺼내볼 주제는 바로 내가 꿈꾸는 반려의 삶이다.
성평등은 모르겠고, 저출생이 문제라고? 기꺼이 망하지 뭐
엄마, 아빠, 누나, 나로 구성된 지극히 평범한 이른바 4인 ‘정상가족’ 아래서 자라난 나는 으레 그렇듯 공부하고 대학가고 취업한 이후 가정을 이뤄서 사는 것을 보편의 삶으로 여기며 자랐고 서른즈음이면 떡 두꺼비 같은 자녀도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하지만 이게 왠걸? 이미 서른을 훌쩍 ...
‘남성'과 '남성성’이라는 의제 중심 페미니즘 활동 단체입니다. 다양한 성 정체성을 가진 구성원이 남성연대에 균열을 내고 함께 페미니즘을 공부 실천하고자 자발적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반려지인들과의 연결을 통해서 해결책을 모색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특히 나는 더 많은 남성들이 이런 반려의 삶을 함께 꿈꿨으면 좋겠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남성연대에 뿌리깊게 자리한 호모포비아부터 돌봄을 여성의 역할로 치부하며 등한시하는 태도 등 넘어야할 고비가 만만치 않다. 하지만 한편으로 이미 많은 남성들이 군대에서 바느질을 비롯한 빨래, 다림질, 청소 등 반려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술을 배우고 경험까지 쌓아왔지 않은가? 오히려 이런 점에서 반려의 삶에 적합한 환경은 이미 조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 두 부분이 매우 인상깊습니다.
첫째로 반려지인들의 연결에 대한 관점입니다. 저는 근본적으로 (이성애적)결혼이란것이 다양한 반려지인들과의 연결 방법 중 하나라 생각합니다.
한국에서는 그것이 가족끼리의 결합이었던 것이며, 현재에 와서 개인간의 결혼에 대해 가족의 인정욕구와 돌봄욕구 등 기대치가 지나치게 높아진탓에 결혼이라는 제도가 위기를 겪고 있는 것 같습니다. 결혼 관념을 바꾸어감으로서 결혼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자하는 시도는 그 이면에 숨어있는 엄청난 반려와 돌봄 수요들을 직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동성 결혼등을 포함한 평혼등에 대한 사회적 수요를 법적인 제도로서 결혼이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문제도 있습니다. 저는 평혼을 갈망하는데 그이유에는 현재의 결혼제도가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정말 다양한 반려집단의 결합이 나타나고 결국 개인들이 흩어지는 개인으로 남지않고 복잡 다단한 반려지인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결혼이라는 관점을 벗어난 반려지인의 유기적 연결과 결합방법들도 많이 있을 것 같습니다. 원문에 나와있던것과 같은 특정 지역이나 지향을 바탕으로한 생활공동체나 반려공동체들도 상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것은 대규모로 군대라는 호모소셜을 경험한 남성들이 생활공동체를 상상하고 구성하지 않거나 못하고 있다는 흥미로운 점으로 이어집니다.
저도 뚜렷히 떠오르는 답은 없습니다. 다만 남성들 스스로의 어려움과 두려움, 불안을 직시하고 어떻게 스스로와 주변의 돌봄과 반려를 이루어낼것인가 고민하기 시작해야 바뀌고 나아질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다양한 반려지인들과의 연결을 통해서 해결책을 모색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특히 나는 더 많은 남성들이 이런 반려의 삶을 함께 꿈꿨으면 좋겠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남성연대에 뿌리깊게 자리한 호모포비아부터 돌봄을 여성의 역할로 치부하며 등한시하는 태도 등 넘어야할 고비가 만만치 않다. 하지만 한편으로 이미 많은 남성들이 군대에서 바느질을 비롯한 빨래, 다림질, 청소 등 반려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술을 배우고 경험까지 쌓아왔지 않은가? 오히려 이런 점에서 반려의 삶에 적합한 환경은 이미 조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 두 부분이 매우 인상깊습니다.
첫째로 반려지인들의 연결에 대한 관점입니다. 저는 근본적으로 (이성애적)결혼이란것이 다양한 반려지인들과의 연결 방법 중 하나라 생각합니다.
한국에서는 그것이 가족끼리의 결합이었던 것이며, 현재에 와서 개인간의 결혼에 대해 가족의 인정욕구와 돌봄욕구 등 기대치가 지나치게 높아진탓에 결혼이라는 제도가 위기를 겪고 있는 것 같습니다. 결혼 관념을 바꾸어감으로서 결혼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자하는 시도는 그 이면에 숨어있는 엄청난 반려와 돌봄 수요들을 직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동성 결혼등을 포함한 평혼등에 대한 사회적 수요를 법적인 제도로서 결혼이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문제도 있습니다. 저는 평혼을 갈망하는데 그이유에는 현재의 결혼제도가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정말 다양한 반려집단의 결합이 나타나고 결국 개인들이 흩어지는 개인으로 남지않고 복잡 다단한 반려지인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결혼이라는 관점을 벗어난 반려지인의 유기적 연결과 결합방법들도 많이 있을 것 같습니다. 원문에 나와있던것과 같은 특정 지역이나 지향을 바탕으로한 생활공동체나 반려공동체들도 상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것은 대규모로 군대라는 호모소셜을 경험한 남성들이 생활공동체를 상상하고 구성하지 않거나 못하고 있다는 흥미로운 점으로 이어집니다.
저도 뚜렷히 떠오르는 답은 없습니다. 다만 남성들 스스로의 어려움과 두려움, 불안을 직시하고 어떻게 스스로와 주변의 돌봄과 반려를 이루어낼것인가 고민하기 시작해야 바뀌고 나아질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