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은 한국이 아니다] 유럽의 개인주의에 대한 오해
2024/05/23
'개인주의'라는 말이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가 된 것은 용어에 정확한 개념 없이 대충 사용하게 된 것이 일차적 이유고, 시대가 많이도 변한 것이 이차적 이유다.
'개인주의'와 관련해서 언젠가부터 '외국에는 안 그래'라는 말이 나온 이유는 대한민국의 강력한 '집단주의'때문일 것이다.
가족을 위해서, 직장을 위해서, 조직을 위해서 희생하는 것이 더 의미 있는 선택이었던 시절이 있었다. 아버지는 돈을 벌고 어머니는 가정을 돌보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며 개인의 취미나 취향 따위를 찾는 것은 좋은 부모의 모습이 아니었다. 물론 1940-50년대에 태어난 그들에게는 애초에 그럴 여유조차 허락된 환경이 아니었으니 어쩌면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을 것이다. 회사에는 그야말로 개처럼 일하고도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는 것도 감내해야 하는 일이었다.
그렇게 오랜 기간 억눌린 '나'를 찾기 위해 사람들은 서양에서 '개인주의'라는 말을 빌려오기로 한다.
서양의 오랜 개인주의의 원천을 논할 때 많이 쓰던 예가 있다.
영어는 항상 세계의 중심인 나 즉, 'I'로 문장을 시작하고, 문장을 만들 때도 주로 '내'가 어떻게 느끼는지 '내'가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위주로 표현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이유는 '개인'을 가장 존중하는 서양의 '개인주의'때문이라고...(영어와 같은 뿌리 West Germanic languages를 두고 있는 독일어 역시 비슷하다)
실제 개인주의와 언어가 얼마나 밀접한 인과관계를 만들었는지는 차치하더라도 과거 한국에 비해 개인의 취향과 선택을 더 중요시하는 사회였던 것은 맞다.
그러나 그들의 그런 문화는 도대체 언제부터 시작된 것일까?
집단 보다 개인이 더 중요할 수 없는 대표적 상황은 전쟁이다. 전시에 누가 개인의 자유와 취향 따위를 존중해 줄 수 있겠는가. 개인의 자유 따위를 디밀었다가는 그 자리에서 쏴 죽이는 일도 빈번하게 일어났을 것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은 1939년 9월 1일부터 1945년 5월 8일, 독일이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기까지 계속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