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0/06
언제 양자역학에 대해 제대로 공부해서 제가 배운 걸 설명할 수 있으면 즐거울 것 같습니다.
지금은 제가 가진 지식이 어설프기만 하네요.
우리가 가진 직관은 우리가 생활하는 거시세계에서 진화와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러니,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세계에 우리의 직관이 통하지 않는 신기한 현상들이 나타난다는 것은 원론적으로 자연스러운 일인 것 같습니다.
다만, 우리가 가진 사고라는 것이 원래 그렇듯이, 우리의 사고가 전제하는 것들 중 어디까지가 보편타당한 것이고 어디까지가 의심할 수 있는 영역인지 경계를 정하는 일은 어려운 일입니다.
아무리 양자역학의 세계라고 한들, 우리의 직관 상 불가능한 것 같은 일이 일어나는 것은 이해하기가 어렵죠.
시간의 길이가 관측자에 따라 달라진다는 발상을 전개했던 천하의 아인슈타인 마저도 양자역학의 개념들을 납득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었고, 양자역학이 뭔가 오류를 품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 보이고자 EPR 가설 같은 것도 나오게 된 것 같습니다. (EPR에서 E는 아인슈타인 이름의 첫 글자이죠)
양자역학의 세계에서 상자 안에 들어 있어 아무도 볼 수 없는 공의 색깔은 정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 말의 뜻은 오해되기 쉽고 깊이 생각할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관찰할 수 없으니까 색깔을 알지 못한다는 것이 아니라, 관찰되기 전에는 색깔이 정해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같은 말처럼 보이지만...
지금은 제가 가진 지식이 어설프기만 하네요.
우리가 가진 직관은 우리가 생활하는 거시세계에서 진화와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러니,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세계에 우리의 직관이 통하지 않는 신기한 현상들이 나타난다는 것은 원론적으로 자연스러운 일인 것 같습니다.
다만, 우리가 가진 사고라는 것이 원래 그렇듯이, 우리의 사고가 전제하는 것들 중 어디까지가 보편타당한 것이고 어디까지가 의심할 수 있는 영역인지 경계를 정하는 일은 어려운 일입니다.
아무리 양자역학의 세계라고 한들, 우리의 직관 상 불가능한 것 같은 일이 일어나는 것은 이해하기가 어렵죠.
시간의 길이가 관측자에 따라 달라진다는 발상을 전개했던 천하의 아인슈타인 마저도 양자역학의 개념들을 납득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었고, 양자역학이 뭔가 오류를 품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 보이고자 EPR 가설 같은 것도 나오게 된 것 같습니다. (EPR에서 E는 아인슈타인 이름의 첫 글자이죠)
양자역학의 세계에서 상자 안에 들어 있어 아무도 볼 수 없는 공의 색깔은 정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 말의 뜻은 오해되기 쉽고 깊이 생각할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관찰할 수 없으니까 색깔을 알지 못한다는 것이 아니라, 관찰되기 전에는 색깔이 정해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같은 말처럼 보이지만...
궁금하고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주제에 대해 배우고자 노력하고, 깨달아지는 것이 있으면 공유하고 공감을 구하는 평범한 사람입니다.
아인슈타인이 양자역학을 싫어한 것은 '어떻게 세계가 확률로 존재하냐'라는 생각에 기인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본문에 이야기하신대로 우리 일상엔 큰 영향은 없지만요 ㅎㅎ
제가 원래 전공하고 싶은 분야가 과학기술과 정치인 만큼 과학 영상을 보는 것도 좋아하는데, 요새 많이 못봐서 아쉬운 나날들입니다 ㅠ
몬스님. 소개해 주셨던 영상에서 실재성에 대한 설명이 좋았습니다.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당연하다고 믿는 전제가 실재성이라서 그것이 양자역학의 중첩 개념을 이해하는데 장애가 되는 것 같아요.
제가 바다에 자주 가보지 않아서 파동 개념이 약합니다. 파동 얘기가 나오면 뭔가 낯설어요. ^^
요즘엔 좋은 콘텐츠가 많아서 공부하려는 마음만 먹으면 예전보다 훨씬 공부가 쉬워진 시대 같기도 합니다. 소개해주신 영상도 기회되는대로 볼께요.
역시 서툰댄서님.. 잘 읽었습니다!
중첩이라는, 거시세계에서 관측되는 실재성(스핀의 방향, 입자의 위치..)이 중첩(혼재)하고 있다는 설명이 양자세계의 이해를 어렵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본질은 파동이고,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것을 실재성이라고 이해하면 조금 더 이해가 쉬워지는 것 같습니다.
관련해서 이어쓰기 글에 첨부한 채널의 영상들이 정말 좋은데요. 그 중에서도 양자장론을 설명한 영상은 특히 좋았습니다!
https://youtu.be/cW4ZNQdPBck
아인슈타인이 양자역학을 싫어한 것은 '어떻게 세계가 확률로 존재하냐'라는 생각에 기인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본문에 이야기하신대로 우리 일상엔 큰 영향은 없지만요 ㅎㅎ
제가 원래 전공하고 싶은 분야가 과학기술과 정치인 만큼 과학 영상을 보는 것도 좋아하는데, 요새 많이 못봐서 아쉬운 나날들입니다 ㅠ
역시 서툰댄서님.. 잘 읽었습니다!
중첩이라는, 거시세계에서 관측되는 실재성(스핀의 방향, 입자의 위치..)이 중첩(혼재)하고 있다는 설명이 양자세계의 이해를 어렵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본질은 파동이고,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것을 실재성이라고 이해하면 조금 더 이해가 쉬워지는 것 같습니다.
관련해서 이어쓰기 글에 첨부한 채널의 영상들이 정말 좋은데요. 그 중에서도 양자장론을 설명한 영상은 특히 좋았습니다!
https://youtu.be/cW4ZNQdPBck
몬스님. 소개해 주셨던 영상에서 실재성에 대한 설명이 좋았습니다.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당연하다고 믿는 전제가 실재성이라서 그것이 양자역학의 중첩 개념을 이해하는데 장애가 되는 것 같아요.
제가 바다에 자주 가보지 않아서 파동 개념이 약합니다. 파동 얘기가 나오면 뭔가 낯설어요. ^^
요즘엔 좋은 콘텐츠가 많아서 공부하려는 마음만 먹으면 예전보다 훨씬 공부가 쉬워진 시대 같기도 합니다. 소개해주신 영상도 기회되는대로 볼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