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만 안망했으면 - <한문이 말하지 못한 한국사>를 읽고

김형민
김형민 인증된 계정 · 역사 이야기 좋아하는 50대 직장인
2023/10/01
#산하의_오책 - 신라만 안망했어 봐라 내가 표준말이다 
 <한문이 말하지 못한 한국사>를 읽고 
.
 초딩 시절 한때 엉뚱한 착각을 했던 적이 있었다. “세종 대왕 이전엔 한국 사람들은 무슨 말을 했을까.” 세종은 우리 말을 표현할 수 있는 문자를 발명했을 뿐인데 ‘우리 말’ 자체를 만들어낸 것으로 잘못 안 것이다. 오해는 오해라고 치지만 우리 조상들의 언어 생활은 여전히 궁금한 게 많다. 
.
동북아시아 정세가 오늘날 이상으로 긴박하게 돌아갔다 싶은 642년 평양에서 마주앉은 신라와 고구려의 두 영걸 김춘추와 연개소문은 과연 영화 <황산벌>처럼 경상도 사투리와 평안도 사투리로 대화했을까. 중고딩 시절 배웠던 ‘서동요’ 가사의 첫 소절 ‘善花公主主隱’을 ‘선화공주主(훈독)隱(음독)’으로 읽는 해석이 과연 맞는 것일까, 등등등 어디 한두 가지랴. 
.
 이 의문의 거지반은 우리 옛 기록 태반이 한자, 한문에 의지하고 있다는 데에서 비롯될 것이다. 말 따로 글 따로 쓰는 것은 훈민정음 이전이나 이후에나 큰 차이가 없었다. 더하여 <한문이 말하지 못한 한국사> 저자 장지연은 이렇게 말한다. “말과 글이 일치하고 공식적인 문자 사용에서 격차가 없어진 것은 기껏해야 1945년 해방 이후 들어서이니 백년도 채 되지 않았다.”

.
그런데 그 이전이라고 발랄한 ‘문자 생활’이 없었을까. 한자를 모르고 한문을 짓지 못하면 그저 눈 뜬 장님에 꿀 먹은 벙어리고 살아야 했을까. 저자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문자를 아는 이도 적은 와중에 여러 문자가 사회적으로 통용되었다. 문자 별로 배우는 데에 드는 공이 다르고 사용하는 형식과 사용자의 사회적 지위도 달랐다.” 
.
 조선 수도의 공식 명칭은 한성부(漢城府)였다. 그 외에도 호칭은 많았다. 한양(漢陽)은 물론 일본이 붙인 이름이라고 눈 부라리는 사람 많은 경성(京城)도 엄청나게 많이 쓰였고. 경사(京師)라는 호칭도 즐겨 쓰였다. 그런데 한자 단어는 기본적으로 위계질서가 명확하다. 그런데 저자는 조선왕조실록을 분석하면서 ‘황...
김형민
김형민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사학과는 나왔지만 역사 공부 깊이는 안한 하지만 역사 이야기 좋아하고 어줍잖은 글 쓰기 좋아하는 50대 직장인입니다.
273
팔로워 3.3K
팔로잉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