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용감한 목사님의 소천

김형민
김형민 인증된 계정 · 역사 이야기 좋아하는 50대 직장인
2023/02/05
임보라 목사님. 평안하시길 
.
 우리 ‘가문’이라고 말하기는 뭐하고, ‘가문’ 따위를 자랑스러워하는 사람들을 보면 코웃음부터 나는 처지이지만, 하나 덧붙이자면 우리 ‘가문’에는 130년쯤 전부터는 제사가 없다. 두만강 근처에 살다가 만주로 넘어갔던 내 증조부가 기독교를 받아들이면서 제사를 폐했던 것이다. 즉 나는 따지고 보면 우리 역사에 흔하지 않은  4대째 기독교인인 셈이다. 
.
 기독교인이라 말하기는 하고, 종교란에 꼬박꼬박 기독교를 채워 넣기는 하지만 통상 한국에서 말하는 독실한 ‘기독교인’과는 거리가 멀다. 아주 멀다. 십일조 같은 건 평생 해 본 적 없고, 예수천국 불신지옥 류의 선무당같은 신앙고백을 해 본 적도 없다. 주일성수도 그다지 엄하게 지키지 않았고, 대학 입학한 이후에는 교회와도 거의 담을 쌓았다. 그래도 무슨 교회에든 적을 두어 달라는 부모님의 성화에도 쇠귀에 성경 읽기쯤으로 대응하다가 찾은 교회가 향린교회였다. 지금은 여러 사정으로 그 교회에서도 이방인이 됐지만 그래도 습관처럼 사반세기를 교인으로 있었다. 
.
 향린교회는 기독교 장로회 소속이다. 요즘 분위기는 또 다르다지만 기독교 장로회, 곧 기장은 한국 개신교의 진보성을 독보적으로 담보했고, 향린교회는 속사정이야 어떻든 그 맨 앞 대열에 끼어 있었다. 앞에서 ‘습관처럼’ 이 교회의 신도였다고 한 이유는 이 교회의 충실한 신도였다기보다는 역력한 ‘날나리’였기 때문이고 기독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포기하지는 않기 위한 알리바이로서 향린교회를 활용했기 때문이다. 불경하고 죄송한 말씀이지만 사실이 그랬다.
.
 향린교회는 ‘사회 선교’에 관심이 많은 교회였고, 교회에 나오다 보면 당시의 첨예한 사회적 이슈를 금세 알아챌 수 있었다. 탄핵 촉구 촛불 시위 때는 교회 사람들을 항상 만날 수 있었고, 뉴스를 장식한 여러 사건과 현장, 사람들과 본의 아니게 조우했다. 사회적 이슈가 교회 안에서 불거져 갑론을박이 된 것도 여러 번이었다. 그 중 하나의 예를 들면 2012년 있었던 동성 결혼식 대여 무산 사건...
김형민
김형민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사학과는 나왔지만 역사 공부 깊이는 안한 하지만 역사 이야기 좋아하고 어줍잖은 글 쓰기 좋아하는 50대 직장인입니다.
273
팔로워 3.3K
팔로잉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