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스
몬스 · 네트워크 과학을 공부/연구합니다.
2023/11/06
고도로 발달한 AI는 언제나 상상을 자극하는 소재인 것 같습니다. 그 중에서도 그러한 AI를 인간으로 볼 수 있는 지 아닌지의 여부는 항상 논쟁적이죠. 아무래도 무엇을 인간과 같다고 판단하는 주체 또한 인간이기에 그러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인간이 AI를 인간으로 볼 것인지 아닌지 판단해야 하는 이유는 의식을 이루는 기반에 대한 것은 아닐 것입니다. 생물학적 인간과 전기적 AI는 너무나도 분명하게 다르니까요. 그러면, 우리가 판단하고자 하는 영역은 오로지 상호작용을 통해 판단할 수 있는 의식의 형태에 관한 것일 겁니다.

그런 의미에서 존 서얼의 구분법은 질문의 범위에서 벗어난다는 생각입니다. 진정한 이해의 영역은 상호작용을 벗어난 개개의 개체 내에서 일어나는 주관적인 판단과 반응의 영역에 해당하며,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났다고 한들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다시 상호작용 뿐이기 때문입니다.

생명주의와 판식론적 구분은 충분히 흥미롭지만, 마찬가지로 질문의 범위에서 벗어난다는 생각입니다. 예를 들어 개미 한마리 한마리를 볼 때 어떤 의식이나 사회성을 지닌 개체라고 느끼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그들이 이룬 군집을 볼 때면 어떤 사회성이나 집단의식 같은 걸 느끼곤 합니다. 마찬가지로 새들의 군무나, 인공지능이라는 연결망 구조 등 충분히 복잡하게 얽혀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것들에게서 어떤 의식이나 생명력 같은 것을 느끼는 것은 가능할 것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그런 의식과 생명력 속에서 인간적인 모습을 발견하는 것과 그것을 인간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별개의 영역이므로 원래의 질문과는 초점이 조금 벗어났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면, 재경님과의 질의응답에서...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복잡계 과학에 관심이 많고, 그 중 주로 네트워크 과학을 공부/연구/덕질 하고 있습니다.
659
팔로워 1.2K
팔로잉 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