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울 의무 - 행복해야 한다는 강박
영화 "울프오브월스트리트"(마틴 스콜세지 감독)에서는 주인공 조던 벨포트(디카프리오 분)가 친구이자 사업파트너인 도니 오조프(조나 힐 분)와 저녁을 먹으면서 그가 어떻게 자기 사촌과 결혼을 했는지 묻는 장면이 나온다. 이어서 조던은 도니에게 "아이들이 건강하고 똑똑하냐"고 묻는데, 민감할 수도 있는 질문에 도니는 표정하나 바꾸지 않고 천연덕스럽게 만약 아이들이 기형으로 태어났더라면 시골마을에 데리고 가 문을 열고 "이제부터 너희들은 자유의 몸이야"라고 말하겠다고 한다. 당황한 표정으로 말을 잇지 못하는 조던의 얼굴과 수초간의 정적이 흐르고 난 뒤 도니는 '농담이었다. 아이들은 멀쩡하고 만약 문제가 있었으면 센터에 데리고 가서 적절한 치료를 받았을 것이다'라고 말을 덧붙이고 대화는 다른 주제로 옮겨간다.
위 대목에서 도니의 의연한 대답에 당황한 조던의 표정과 정적은 영화를 보는 관객의 반응을 대변한다. 자유와 평등을 모토로 내걸고 인류최초의 근대자유민주주의국가임을 자부하는 미국이지만 스스로 자급자족할 수 없는 약자를 시골마을 한복판에 방임하는 것이 자유가 될 수 없음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고등교육을 받지 않았어도 누구나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다. 아이들을 포함해 누군가의 보호가 필요한 노인, 임산부, 장애인 등은 스스로 규율을 정하고 지킬 권리인 '자율'을 기대하기 힘들기 때문에 그들이 하도록 내버려두는 것은 비윤리적인 것이다. 그렇다면 사지가 멀쩡한 성인에게는 이런 방임이 자유가 될 수 있을까?
언뜻 생각했을 때, 방임은 자유와 비슷한 뜻이거나 자유를 보장하는 데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인듯 보인다. 예컨대 12년간의 학교생활을 마치고 대학교에 들어간 새내기의 예를 생각해보자. 인적이 드문 시골마을에서 학교를 다닌 경우가 아니라면, 그는 성인이 되기 전부터 유흥과 밤문화가 주변 어딘가에 항상 존재해왔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을 것이다. 주변사람을 통해, 또는 본인이 법을 우회하여 술과 담배를 이미 접했을 수도 있고, 그게 아니더라도 10시 이후에 노래방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