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과 소통 및 혁신의 관계>
장대익 교수님은 공감에는 정서적 공감과 인지적/행동적 공감이 있는데, 정서적 공감은 본능에 가깝고, 타인의 감정을 함께 느끼는 상태와 같은 감정이입으로 강렬하지만 금방 사그라들고, 반면에 인지적/행동적 공감은 배워서 향상시킬 수 있고, 타인의 필요를 채워주려는 동기와 행동이며, 다양성의 심리 엔진이며, 집단간/개인간 갈등을 해소하는 심리 치료제라고 하셨다.
코칭 차원에서 보면 동감은 상대방의 감정과 일치된 감정을 가지며 감정이입 하는 것이기에 정서적 공감과 유사하고, 공감은 본인의 중심과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함께 하는 것이기에 공감은 인지적/행동적 공감과 유사하다.
공감을 이렇게 정서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으로 구분하면,
기업/조직의 대표와 리더를 비롯해서 구성원들 간에 정서적 공감도 어느 정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기업/조직 내에 인지적/행동적 공감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고객과의 공감도 잘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바로 여기에서 혁신이 시작될 수 있다.
정서적 공감, 특히 인지적 공감/행동적 공감이 기업/조직 내에 전반적으로 형성되면, 구성원들이 심리적인 안전감을 가지게 되고, 그렇게 되면 비록 어설프더라도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보다 쉽게 나오게 되고,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고, 용기 있게 도전을 펼쳐갈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그 아이디어들이 꽃을 피우며 좋은 결실들을 맺을 수 있게 된다.
만약 기업/조직 내 구성원들의 공감이나 마음을 얻어 내지 못하고, 고객에 대한 파악도 제대로 안 되어 고객에게 의미 있는 가치를 주지 못하면, 고객의 가려운 부분을 긁어주거나 고객을 만족시키는 혁신과 아이디어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스페이스 오디티의...
공감과 함께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슈베르트의 불우한 생이 제 마음의 공감을 마구마구 끌어냅니다. 그런 인재들에게 도움을 많이 주시길 바랍니다.
공감이라는 주제는 많이 다뤄지긴 했으나 실제적으로 조직내세서 제대로 실천하는 사람은 드물다. 그 이유로는 자기 한 몸 건사하기 힘든데 있다. 상대방과 적극적으로 공감하게 되면 상대방의 희노애락이 고스란히 내 마음으로 전이 된다. 상황이 좋을때 보다는 슬프거나 힘들때 공감하는 사람과 소통하게 되는데 그러면 상대방의 슬픔, 고통 등 힘든게 나에게 전이 되며 이것에 나 자신의 문제가 더해처서 엄청 힘들게 된다. 그래서 인지 직장내 주변을 둘러보면 적극적 공감을 햐지도 않고 할려고도 하지 않는다.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는 명령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른 실감하면서...
정서적 공감 뿐 아니라, 인지적 공감 역시 심리적 안전감을 주어 개인과 조직을 발전시킨다는 사실이 새롭게 느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슈베르트의 불우한 생이 제 마음의 공감을 마구마구 끌어냅니다. 그런 인재들에게 도움을 많이 주시길 바랍니다.
공감이라는 주제는 많이 다뤄지긴 했으나 실제적으로 조직내세서 제대로 실천하는 사람은 드물다. 그 이유로는 자기 한 몸 건사하기 힘든데 있다. 상대방과 적극적으로 공감하게 되면 상대방의 희노애락이 고스란히 내 마음으로 전이 된다. 상황이 좋을때 보다는 슬프거나 힘들때 공감하는 사람과 소통하게 되는데 그러면 상대방의 슬픔, 고통 등 힘든게 나에게 전이 되며 이것에 나 자신의 문제가 더해처서 엄청 힘들게 된다. 그래서 인지 직장내 주변을 둘러보면 적극적 공감을 햐지도 않고 할려고도 하지 않는다.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는 명령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른 실감하면서...
정서적 공감 뿐 아니라, 인지적 공감 역시 심리적 안전감을 주어 개인과 조직을 발전시킨다는 사실이 새롭게 느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