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09
우선, 아래에 대해서 잘 설명해주신 것 같습니다.
1. 실제로 사람들의 정치 이념은, 인터넷뉴스 덧글창처럼 극단적이지 않다.
2. 정치 이념이 강할수록(=극단적일수록) 정치 참여를 많이 한다
3. 1과 2를 통해 볼 때, 인터넷 기사의 덧글들은, 보다 정치적 성향이 강한, 극단적인 사람이 목소리를 많이 내는 것이다
그런데, 이 문장은 약간 비약처럼 느꼈습니다.
사실 인터넷뉴스의 '좋아요'버튼과 알고리즘은, 극단적 의견을 가진 사람들이 더더욱 기존보다 과잉대표화(=소수임에도 원래 수보다 더 많아 보이는)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극단적 의견은 자극적이고, 때문에 좋아요를 많이 받은 극단적 덧글은 인터넷뉴스 덧글창 맨 위에 노출이 되죠. 그리고 극단적인 글들은 카톡에 공유되기도 쉽고, 사람들의 좋아요와 클릭을 많이 받으며 유튜브나 페북 등에서 알고리즘을 타고 사람들의 눈에 들어오기 쉽습니다.
가령, 보다 정치적 성향이 강한 사람들이 목소리를 많이 내서 수적으로 과잉 대표화가 될 수는 있지만, "좋아요"는 일반 대중들의 취향을 반영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러한 의견들이 소위 "탑 댓글"을 차지하기는 힘들 거라고 생각해요.
극단적 사람들이 서로를 추천해도 다수를 차지하지는 못할 것이고, 1번 가정처럼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극단적이지 않다면, 그러한 댓글이 "탑 댓글"로 가기는 힘들지 않을까요?
그런데 어째서 인터넷 댓글은 주로 극단적인 의견이 탑을 차지하는지, 조금 더 설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나라의 댓글 창은 어떨까
갑자기 다른 나라의 댓글창은 어떤지 궁금해서 최근 스웨덴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기사의 댓글을 살펴봤습니다.
최근 스웨덴 공영방송 svt는 사회민주당 요르겐 헬만(Jörgen Hellman) 국회의원의 비리를 밝혀냈습니다.
오.. 사실 스웨덴에는 포털이 없어서, 뉴스를 사이트나 페이스북에서 접할 수밖에 없거든요! 상황이 약간 다르기는 한 것 같아요 ㅎㅎ
그런데 네이버의 기사도, 어떤 언론사가 송고했는지에 따라 분위기가 조금씩 다르거든요. ㅎㅎ 특히 최근 언론사 구독 서비스도 시작한 것으로 알고 있고요! 네이버도 어느 정도는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이 모일 수는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정말 여러 가지가 고려되어야 할 것 같아요! ㅎㅎ
잘 읽었습니다. 물론 제 가설 및 연구가 틀렸을 수도 있지만 제 기준에서 답변드리자면,
1)좋아요를 누르는 것 역시 정치적 의사 표현이라고 할 때, 결국 극단 성향의 덧글이 결집도가 더 높을 수 있습니다.
2)특정 언론사의 기사 , 그리고 위에 예시로 주신 페이스북의 특정 페이지의 경우에는 이미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이 모여있을 수 있습니다. 모두에게 보이는 여론보다 좀 더 좋아요의 허들을 넘기 쉽겠죠.
3) 1,2를 바탕으로 많이 얻은 좋아요는 알고리즘으로 상위 노출됩니다.
저는 여기에 더해, 사실 솜솜님이 달아주신 내용들이 표본 설정의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도 봅니다. 페이스북 페이지나 언론에도 여러 종류가 있을 것이고, 한국 역시 정말 많은 언론이 있겠죠. 이런 부분은 사실 좀 더 규모를 키워 연구하지 않으면 알기 어렵겠습니다.
인터넷은 연결되어 있다지만, 다른 국가 모습을 보는 건 흥미롭네요 ㅎㅎ
이웃해있는 나라에 예문을 들어 설명된 댓글 잘 읽었습니다. 독일의 댓글 느낌과 비슷해서 관심이 많이 가네요!
오.. 사실 스웨덴에는 포털이 없어서, 뉴스를 사이트나 페이스북에서 접할 수밖에 없거든요! 상황이 약간 다르기는 한 것 같아요 ㅎㅎ
그런데 네이버의 기사도, 어떤 언론사가 송고했는지에 따라 분위기가 조금씩 다르거든요. ㅎㅎ 특히 최근 언론사 구독 서비스도 시작한 것으로 알고 있고요! 네이버도 어느 정도는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이 모일 수는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정말 여러 가지가 고려되어야 할 것 같아요! ㅎㅎ
잘 읽었습니다. 물론 제 가설 및 연구가 틀렸을 수도 있지만 제 기준에서 답변드리자면,
1)좋아요를 누르는 것 역시 정치적 의사 표현이라고 할 때, 결국 극단 성향의 덧글이 결집도가 더 높을 수 있습니다.
2)특정 언론사의 기사 , 그리고 위에 예시로 주신 페이스북의 특정 페이지의 경우에는 이미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이 모여있을 수 있습니다. 모두에게 보이는 여론보다 좀 더 좋아요의 허들을 넘기 쉽겠죠.
3) 1,2를 바탕으로 많이 얻은 좋아요는 알고리즘으로 상위 노출됩니다.
저는 여기에 더해, 사실 솜솜님이 달아주신 내용들이 표본 설정의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도 봅니다. 페이스북 페이지나 언론에도 여러 종류가 있을 것이고, 한국 역시 정말 많은 언론이 있겠죠. 이런 부분은 사실 좀 더 규모를 키워 연구하지 않으면 알기 어렵겠습니다.
인터넷은 연결되어 있다지만, 다른 국가 모습을 보는 건 흥미롭네요 ㅎㅎ
이웃해있는 나라에 예문을 들어 설명된 댓글 잘 읽었습니다. 독일의 댓글 느낌과 비슷해서 관심이 많이 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