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17
공부 열심히 하시네요.
Ourworldindata의 COVID19; stringency index는, 원래 저게 영상이죠? 하나의 국가라도 일일 또는 국가 방침에 따른 시행기간별 변화가 크기 때문에 확정일자를 두고 정부통제가 강하다 약하다 말하긴 어렵다고 봅니다. 확진자 비율 대비 통제수준이 문제가 아니라 국가내 일정 기간내 통제수준의 변화를 먼저 보아야 할 것 같네요.
그렇기 때문에 아래 논문의 Fig5. 의 a는 확정일자인 2020604까지 누적확진자를 사용했고, b는 정부의 통제가 최대로 작용했던 일시(또는 모집구간)의 누적확진자 데이터를 사용한 것 같은데요.
이 그래프는 좀 애매해보입니다. 정부의 통제 정도에 따른 통제 기간별 독립변수나 종속변수에 따른 그래프가 추가로 있으면 데이터의 정확도가 ...
@김재경
전 사실 다 잘 모릅니다. 상식수준에 불과해요.
연간 데이터를 쓰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보여주신 위 데이터는 동영상으로 보면 계산안해도 sd값이 매우 커보여서 평균값이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기간별로 잘라서 보고 다른 변수들로 adjusting해야 신뢰구간에 맞출 수 있을 것 같네요. 건승하세요.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이제 통계분석을 본격적으로 공부한지가 얼마 안됬고, 사실 감염병 연구도 이제 살펴보기 시작한 상태다보니..
타 전공분야는 어떤지 모르겠는데, 보통 정치학에서 정치적 변수(ex 정치체제 데이터) 나 다른 보편적 변수(흔한 gdp)와 함께 쓰고자 연간 데이터를 쓰지 않나요?? 케이스 스터디 형식이면 특정 기간으로 살펴보는게 더 유익할거 같기는 합니다. 위 그래프는 단순회귀다보니..
그래서 사실 말씀해주신걸 당장 다 이해하지 못했지만(ex 모델종류) 천천히 소화시켜 보겠습니다. 다음 시리즈는 이전 감염병 연구들과 합쳐서 아마 2020 총괄로 접근하게 될거 같습니다.
@김재경
전 사실 다 잘 모릅니다. 상식수준에 불과해요.
연간 데이터를 쓰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보여주신 위 데이터는 동영상으로 보면 계산안해도 sd값이 매우 커보여서 평균값이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기간별로 잘라서 보고 다른 변수들로 adjusting해야 신뢰구간에 맞출 수 있을 것 같네요. 건승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