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여성도 배워야 한다 - 정종명
2023/05/14
조선여자고학생들의 참스승이자 큰언니, 정종명(鄭鍾鳴, 1896 ~ ?)
배운 여자는 골칫덩이?!
‘찌질’의 역사는 장구하다. 부끄럽지만, 유사 이래 많이 배우고, 많이 가지고, 많이 힘센 ‘남자’들이 보여준 구차한 사례들은 손으로 꼽을 수 없을 만큼 다채롭다. 남성들은 ‘정치’를 지휘하고, ‘권력’을 독점하며, ‘종교’를 발판삼아 여성들을 억압했다. 근대 사회에 접어들며 ‘자유’와 ‘평등’의 가치가 확산되고, ‘교양’과 ‘지식’을 습득할 기회가 늘어나면서 이런 부당한 처사는 점차 줄어들 줄 알았다. 하지만 웬걸, 20세기 들어서도 여전히 ‘교육’의 기회는 남성들에게만 주어졌다. 여성전문학교가 하나 둘 생겨났지만 극소수였을 뿐, ‘배운 여자’는 세상의 ‘눈요깃거리’ 혹은 ‘골칫덩어리’ 취급을 받았다.
20세기 초반 조선의 여성들은 여전히 폐색된 유교 인습과 가부장 질서에 가로 눌렸다. 세상은 빠르게 바뀌고 있는데도 전근대적 습속의 반복을 강요받을 뿐, 새로운 ‘앎’을 접할 기회는 얻을 수 없었다. 당시 여성들에게는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것만 해도 호사였고,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주장한다는 건 언감생심이었다. 더욱이 가난한 여성들에게 학교는 아주 머~언 세계였다.
빈가(貧家)의 젊은 여성들은 다른 가족들을 위해 가장 먼저 희생해야 하는 ‘딸’이었고, 남자 형제를 위해 자신의 꿈을 누구보다 빨리 포기해야 하는 ‘누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움의 열정을 버리지 않은 여성들이 있었다. 우리는 이들을 ‘여자고학생(女子苦學生)’이라 부른다. 이들은 가정을 돌봐야 하고 거친 노동에 내몰렸지만, 연필을 사기 위해 한 푼을 아꼈으며, 책을 사기 위해 밥을 굶었다.
@캘리뽀냐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배움의 길. 정독했습니다!
@눈속의사과 서양도 마찬가집니다. 여성에게 투표권이 부여된게 100년 정도밖에 안됐어요. 눈부시게 빠르게 여권 성장이 이뤄지고 있지만, 정종명 같은 분들의 엄청난 노력이 필요했죠. 허투루 된 게 하나도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생각해보면 여성의 공부와 학습, 사회적 활동의 시작이 그리 오래전부터가 아님을 알게되고 새삼 놀라고 있네요.
이런 분들의 활동과 영향력 전파가 진정한 페미니즘이 아닌가 싶어요.
정종명이라는 분에 대해 잘 배우고 갑니다 작가님.
생각해보면 여성의 공부와 학습, 사회적 활동의 시작이 그리 오래전부터가 아님을 알게되고 새삼 놀라고 있네요.
이런 분들의 활동과 영향력 전파가 진정한 페미니즘이 아닌가 싶어요.
정종명이라는 분에 대해 잘 배우고 갑니다 작가님.
@눈속의사과 서양도 마찬가집니다. 여성에게 투표권이 부여된게 100년 정도밖에 안됐어요. 눈부시게 빠르게 여권 성장이 이뤄지고 있지만, 정종명 같은 분들의 엄청난 노력이 필요했죠. 허투루 된 게 하나도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배움의 길. 정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