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25
행복하지 않아서 출산율이 낮다는 것은 쉽게 동의 할 수 있지만, 행복하다고 해서 (이미 낮아진 출산율이) 늘지는 알 수 없습니다. 솔직히, 임신과 출산 자체가 행복과는 거리가 멀어보이구요.
행복에 대한 정의는 사람마다 다르나, 어느정도 과학적인 기준을 세운다면 "긍정적인 기분이나 생각" 여부(주관적안녕감)로 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
그런데, 본문에도 언급한것 처럼, 육아는 희생을 요구합니다. 아마, 이 희생은 돌봄노동으로 인한 체력소진, 자유시간 박탈, 돈의 소비, 자녀 양육에 대한 책임감 등등 이겠지요?
과연 이러한 희생 자체가 긍정적인 기분 혹은 생각을 만든다고 할 수 있을까요? 저는 부정적으로 봅니다. 즉, 애초에 육아에 희생이 요구된다는 사실 자체가, 행복에 악영향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행복...
행복에 대한 정의는 사람마다 다르나, 어느정도 과학적인 기준을 세운다면 "긍정적인 기분이나 생각" 여부(주관적안녕감)로 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
그런데, 본문에도 언급한것 처럼, 육아는 희생을 요구합니다. 아마, 이 희생은 돌봄노동으로 인한 체력소진, 자유시간 박탈, 돈의 소비, 자녀 양육에 대한 책임감 등등 이겠지요?
과연 이러한 희생 자체가 긍정적인 기분 혹은 생각을 만든다고 할 수 있을까요? 저는 부정적으로 봅니다. 즉, 애초에 육아에 희생이 요구된다는 사실 자체가, 행복에 악영향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행복...
김익규, 회사에서 문구용품을 개발하는 연구원입니다. 전통공예와 공예 소재에 대해 관심이 있습니다.
과학적 관점에서 공예를 생각합니다.
@선량한시민 그렇습니다. 시간을 과거로 돌리지 않는 이상, 출산율을 끌어올리려는 모든 행위와 정책 자체가 불가능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저출생으로 인한 국가의 존립이 위태롭다는 협박이나, 부모의 압박이나, 온갖 돈 더 줄게 유도책 등등 다 먹히지 않았음이 분명하니깐요. 그렇다면 그냥 지금 존재하는 한국인들의 삶의 질과 행복을 위해 좀 더 노력하는 게 맞겠죠. 꼭 출생률 상승을 목표로 두지 않더라도 그렇게 가야 한다고 봅니다. 온갖 조건부 지원책의 비중을 줄이고 임신과 출산을 하든 안 하든 그냥 지원해주는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