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26
예전에는 도서관이 책을 보는 장소라고 생각했어요. 크고 장서가 많은 도서관이 사회를 바꿀 수 있을 것이라 믿었었죠. 지금은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세상을 바꾸는 것은 도서관이라는 장소를 기억하는 사람들이니까요. 도서관은 지역 주민들에게 무료로 책을 대여해 주고 책과 연계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독서라는 관점에서 보면 독서량이 줄어드는 시대에 걸맞지 않은 비효율적인 공간이겠죠. 하지만 조금만 다르게 생각해 보면 독서 인구는 크게 중요하지 않아요. 도서관에서 사람들이 무엇을 하는지가 중요합니다.
규모가 큰 도서관은 규모가 큰 행사를 진행합니다. 계층별로 다양한 문화행사나 독서모임을 진행하기도 하죠. 책이 중심에 있기도 하지만 때로는 음식이나 놀이가 중심에 있기도 합니다. 놀이를 언급한 책을 전시해 놓고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작은도서관은 큰 도서관와 연계한 프로그램을 개설하기도 하고 소수를 대상으로 그림책을 낭독하거나 다문화 가정을 위한 소규모 문화 행사 등을 진행합니다. 큰 도서관과 지역 주민들의 훌륭한 조력자입니다.
처음 우리 동네에 마을 도서관이 만들어졌을 때를 기억합니다. 아무것도 없을 것 같은 골목 귀퉁이에 조용히 도서관이 생겼어요. 그곳에서 기어 다니며 독후활동 체험을 한 어린이들은 이제 중고등학생이 되었습니다. 방학이 되면 봉사활동을 하며 어르신들이나 어린이들의 독서활동을 돕기도 해요. 대학생들은 공부방을 열어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학교 생활을 돕기도 하고요. 동네에서 아주 오래 살아온 어르신들은 사진이나 과거의 물건을 찾아 도서관에서 작은 전시회를 열기도 하고요. 어르신들이 직접 마을 풍경을 담은 사진을 찍어 간행물로 만들기도 했어요. 인근 대학 학생들이 자료를 정리했어요.
서로 다른 시간을 살아온 사람들이 만나 시간을 잇는 곳이 도서관입니다. 차별 없이 누구라도 평등하게 품어 안는 작은도서관은 연대와 화합을 꿈꾸는 지역 사회의 씨앗입니다. 가정이나 학교가 아닌 주민들의 가장 작은 공동체 중 하나가 바로 도서관입니다. ...
지원은 사실 2022년 대선 이전부터 많이 줄어든 상태였어요. 아주 조금씩 치밀하게 진행되었습니다. 도입 단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돈과 사람이 부족한 곳이 마을도서관인데 있던 지원금마저 줄이고 프로젝트도 없애버리니 실적이 없잖아요. 2022년 동안 없었던 실적을 바탕으로 보고서를 내고 2023년 지원을 중단한 곳도 있습니다.
효율성과 인건비를 명목으로 지원을 끊은 곳도 있고요. 참여한 사람들은 대부분 동네 주민들이었어요. 각자의 재능기부로 이루어진 마을 공동체 사업들이 정치적으로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로 문을 닫는 것을 무력하게 지켜봐야만 했죠. 2년 전부터 관리자 없이 방치된 마을 공간도 많았어요. 백신 치료제 100% 개발 실패로 식약처 압수수색한다는 기사를 얼마 전에 읽었는데 전방위적으로 이런 식인듯요. 돈 대줬는데 성과 없으면 문 닫아라... 엄청 공정해요. 근데 그럼 혁신과 변화는 버려야죠. 백프로 성공하고 성과나오는 쉬운거만 해야하니까요.
마을도서관으로 명명한 곳을 포함한 대부분의 마을 공동체 공간에 작은 서가가 꾸려져 있었거든요. 그 부분에 대한 고려는 일절 없었어요. 운영을 종료한다는 공간이 위치한 곳들은 범죄가 발생할 것처럼 후미진 공간도 포함되어 있었어요. 위험한 공간을 밝게 개선하여 사람들이 드나들며 활동하고 책을 볼 수 있는 공간으로 바꾸면서 안전한 거리를 늘려간 것인데 그것 또한 고려되지 않았죠. '운영을 종료합니다'라는 종이가 붙은 사람 없는 공간은 향후 범죄장소로 악용될 소지도 있다는 것을 주민들은 생각하는데 정책에 반영되지 않아요.
뭐 대놓고 이야기하진 않지만 이런 사실들을 종합해 볼 때 지원 삭감의 진짜 이유는 '사람이 싫어서'입니다. 활동가가 싫고 마을도서관에서 모이는 것이 싫은 거예요. 지원삭감으로 달라진 것을 보면 분명해요. 모임의 장소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공동체 사업에 참여한 적도 있고 오랜 기간 동안 마을도서관을 지켜본 입장에서 확실하게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공동체 사업의 시작은 마을 활성화를 위한 것이었지만 예산 삭감은 마을 주민들의 이야기를 듣지 않고 진행되었다는 점입니다.
생존을 위해 네트워크를 긴밀하게 구성하고 동네 책방과의 협력 사업 등 펼치며 혹한기를 준비하는 마을도서관도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거점도서관이 조력을 나누는 형식으로 버티는 것도 있고요. 일본에서는 이소이 요시미쓰 씨가 마이크로 라이브러리 운동을 크게 펼쳤었는데 우리나라에는 공공 영역에서 이런 마을도서관을 꾸려나갔다는 점이 자랑스럽기도 하고 의미 있다고 생각했는데 예산 감축으로 휘둘릴 수 있다는 문제점을 이번에 인식하게 되었다는 것이 나름의 긍정적인 효과랄까요.
만약 마을도서관이 살아남는다면 예산에 휘둘리지 않는 자립에 관한 논의를 통해 정부의 정책에 휘둘리지 않는 안정적인 마을공동체를 구축해얄 것 같아요. 활동이 크게 줄었어도 학교랑 긴밀하게 네트워크 된 곳이 많아서 안심하고 있었는데 학교-지역사회 연계활동 교육청 예산까지 같이 삭감해 버린 거 있죠. ㅜ ㅜ
좋은 글 감사합니다. 역시 직접 경험하신 내용이 담겨 있어 생생하네요. 말씀처럼 지역 동네에서 기억을 공유할 수 있는 곳들인데... 가치를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뭐랄까 소비하지 않고도 존재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곳일텐데요.
그나저나 평가 이야기를 하셨는데, 그런 구체적인 이유로 지원을 끊었나요? 그렇다면 지표를 한 번 다시 평가해 볼 수도 있을텐데요.
그리고 아파트 단지 도서관 정보도 감사합니다. 아마 그건 제가 추가로 조사한 '~문고'에서도 아마 잡히지 않았을 거예요. 아파트 공화국 한국에서는 분명 그런 곳도 역할을 하겠군요.
지원은 사실 2022년 대선 이전부터 많이 줄어든 상태였어요. 아주 조금씩 치밀하게 진행되었습니다. 도입 단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돈과 사람이 부족한 곳이 마을도서관인데 있던 지원금마저 줄이고 프로젝트도 없애버리니 실적이 없잖아요. 2022년 동안 없었던 실적을 바탕으로 보고서를 내고 2023년 지원을 중단한 곳도 있습니다.
효율성과 인건비를 명목으로 지원을 끊은 곳도 있고요. 참여한 사람들은 대부분 동네 주민들이었어요. 각자의 재능기부로 이루어진 마을 공동체 사업들이 정치적으로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로 문을 닫는 것을 무력하게 지켜봐야만 했죠. 2년 전부터 관리자 없이 방치된 마을 공간도 많았어요. 백신 치료제 100% 개발 실패로 식약처 압수수색한다는 기사를 얼마 전에 읽었는데 전방위적으로 이런 식인듯요. 돈 대줬는데 성과 없으면 문 닫아라... 엄청 공정해요. 근데 그럼 혁신과 변화는 버려야죠. 백프로 성공하고 성과나오는 쉬운거만 해야하니까요.
마을도서관으로 명명한 곳을 포함한 대부분의 마을 공동체 공간에 작은 서가가 꾸려져 있었거든요. 그 부분에 대한 고려는 일절 없었어요. 운영을 종료한다는 공간이 위치한 곳들은 범죄가 발생할 것처럼 후미진 공간도 포함되어 있었어요. 위험한 공간을 밝게 개선하여 사람들이 드나들며 활동하고 책을 볼 수 있는 공간으로 바꾸면서 안전한 거리를 늘려간 것인데 그것 또한 고려되지 않았죠. '운영을 종료합니다'라는 종이가 붙은 사람 없는 공간은 향후 범죄장소로 악용될 소지도 있다는 것을 주민들은 생각하는데 정책에 반영되지 않아요.
뭐 대놓고 이야기하진 않지만 이런 사실들을 종합해 볼 때 지원 삭감의 진짜 이유는 '사람이 싫어서'입니다. 활동가가 싫고 마을도서관에서 모이는 것이 싫은 거예요. 지원삭감으로 달라진 것을 보면 분명해요. 모임의 장소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공동체 사업에 참여한 적도 있고 오랜 기간 동안 마을도서관을 지켜본 입장에서 확실하게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공동체 사업의 시작은 마을 활성화를 위한 것이었지만 예산 삭감은 마을 주민들의 이야기를 듣지 않고 진행되었다는 점입니다.
생존을 위해 네트워크를 긴밀하게 구성하고 동네 책방과의 협력 사업 등 펼치며 혹한기를 준비하는 마을도서관도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거점도서관이 조력을 나누는 형식으로 버티는 것도 있고요. 일본에서는 이소이 요시미쓰 씨가 마이크로 라이브러리 운동을 크게 펼쳤었는데 우리나라에는 공공 영역에서 이런 마을도서관을 꾸려나갔다는 점이 자랑스럽기도 하고 의미 있다고 생각했는데 예산 감축으로 휘둘릴 수 있다는 문제점을 이번에 인식하게 되었다는 것이 나름의 긍정적인 효과랄까요.
만약 마을도서관이 살아남는다면 예산에 휘둘리지 않는 자립에 관한 논의를 통해 정부의 정책에 휘둘리지 않는 안정적인 마을공동체를 구축해얄 것 같아요. 활동이 크게 줄었어도 학교랑 긴밀하게 네트워크 된 곳이 많아서 안심하고 있었는데 학교-지역사회 연계활동 교육청 예산까지 같이 삭감해 버린 거 있죠. ㅜ ㅜ
좋은 글 감사합니다. 역시 직접 경험하신 내용이 담겨 있어 생생하네요. 말씀처럼 지역 동네에서 기억을 공유할 수 있는 곳들인데... 가치를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뭐랄까 소비하지 않고도 존재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곳일텐데요.
그나저나 평가 이야기를 하셨는데, 그런 구체적인 이유로 지원을 끊었나요? 그렇다면 지표를 한 번 다시 평가해 볼 수도 있을텐데요.
그리고 아파트 단지 도서관 정보도 감사합니다. 아마 그건 제가 추가로 조사한 '~문고'에서도 아마 잡히지 않았을 거예요. 아파트 공화국 한국에서는 분명 그런 곳도 역할을 하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