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2/23
사진에서 네빌 체임벌린이 들고 있는 '이 시대의 평화'이자 곧 휴지조각이 될 문서가 정말 애처롭게 보입니다. 서방 지도자들이 체코를 포기했던 것 같이 peace meal을 푸틴에게 계속 준다면, 그 끝은 결국 패배 아니면 전면전이 되겠습니다. 그 와중에 정말 독일의 에너지 자폭은 두고두고 비판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를 높여서 단기적인 정권차원의 이득을 챙긴 기민당과 메르켈 총리가 책임을 져야 합니다.
좋은 기사 옮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기사 옮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음.. 말씀하신 주장은 독일의 기존 에너지 비중이나 기존 독일 내의 탈원전 여론 등을 파악한 후에 검토할 수 있겠네요. 더욱이 당시 계산에서 (국제정치적 리스크 고려를 못하고) 장기적으로 탈원전 후 에너지 발전 가격에서 더 저렴했다면 당시 정권을 뭐라고 하기에는 저는 무리가 있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지금까지 미국을 포함해서 여러 국가들이 그래왔기 때문에, 제가 말씀드린 상호의존성의 무기화 이론 자체가 꽤 주목을 받는 거구요. 지금 얼룩소 brf. 에 올라온 독일과 가스관 내용도 이 이론에 확실히 부합합니다. 입장에 따라서는 이런 내용에 대해 잘못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겠지만, 이렇게 돌아갈 줄 알았던 정권이나 전문가가 10년 이내로 많지 않았거나, 미국 국가 문서들에은 나오지만 적절한 견제는 지금까지 하지 못했던 것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저는 기존 책임을 묻는 건 무리라고 생각하고 앞으로의 디커플링 리스크를 줄이는게 더 중요하다는 입장인 겁니다.
독일의 러시아 에너지 의존은 가격과 이윤의 문제 이전에 "탈원전"이라는 정책목적을 속도 조절을 안 하고 추구하다보니 나타났다고 생각합니다. 탈원전을 그렇게 급하게 안 했으면 '싸고 깨끗한 러시아 가스'라는 가격과 이윤의 문제가 애초에 생기지도 않았겠죠. 탈원전은 명분이 있는 목적이었지만 현실 경제와 안보를 생각하지 않고 추진한 것은 분명 잘못입니다. 이번에 가시적으로 큰 대가로 돌아왔으니, 당연히 그 당시 수권정당이 책임을 져야 맞다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수권 정당이 정권 운영의 책임을 독점하는 내각책임제 정치인데요. 그리고 탈원전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착실하게 그 이슈를 추구하는 유권자들의 표를 받았던 것이고요.
이런 내용을 분석하는 이론 중 하나로 '상호의존성의 무기화(Weaponized Interdependence)'가 있는데요(현실주의 네이밍마냥 이름 너무 잘 지은), 여러 경제적 주체들이(이론에서는 기업 위주로) 경제적 이윤추구에 의해 형성된 상호의존적 구조가 정치적 무기로 활용된다는 내용입니다.
저는 그래서 약간 관점이 다른게, 정부건 기업이건 이윤 추구를 해왔던 건 오히려 너무 당연했던 과정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도 각 기업의 글로벌 가치 사슬, 글로벌 공급 사슬(GVC GSC)에서 자연스러운 이윤을 추구했기 때문에 요소수 사태, 일본 소재 분쟁이 발생했으니까요.
이전 상황들에 책임을 묻기 보다는, 오히려 앞으로 국제정치경제적인 맥락 속에서, 각 국가가 자국의 이익의 최우선이 무엇인지 정하고, 그 우선도가 높은 측면에서 리스크 분산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찌보면 트럼프 행정부 시절, 그리고 재선되면 나토 탈퇴 가능성까지 거론된 것도 이런 위기를 더 키운게 있지 않았나 싶은 생각이 스치기도 합니다.
이런 내용을 분석하는 이론 중 하나로 '상호의존성의 무기화(Weaponized Interdependence)'가 있는데요(현실주의 네이밍마냥 이름 너무 잘 지은), 여러 경제적 주체들이(이론에서는 기업 위주로) 경제적 이윤추구에 의해 형성된 상호의존적 구조가 정치적 무기로 활용된다는 내용입니다.
저는 그래서 약간 관점이 다른게, 정부건 기업이건 이윤 추구를 해왔던 건 오히려 너무 당연했던 과정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도 각 기업의 글로벌 가치 사슬, 글로벌 공급 사슬(GVC GSC)에서 자연스러운 이윤을 추구했기 때문에 요소수 사태, 일본 소재 분쟁이 발생했으니까요.
이전 상황들에 책임을 묻기 보다는, 오히려 앞으로 국제정치경제적인 맥락 속에서, 각 국가가 자국의 이익의 최우선이 무엇인지 정하고, 그 우선도가 높은 측면에서 리스크 분산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음.. 말씀하신 주장은 독일의 기존 에너지 비중이나 기존 독일 내의 탈원전 여론 등을 파악한 후에 검토할 수 있겠네요. 더욱이 당시 계산에서 (국제정치적 리스크 고려를 못하고) 장기적으로 탈원전 후 에너지 발전 가격에서 더 저렴했다면 당시 정권을 뭐라고 하기에는 저는 무리가 있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지금까지 미국을 포함해서 여러 국가들이 그래왔기 때문에, 제가 말씀드린 상호의존성의 무기화 이론 자체가 꽤 주목을 받는 거구요. 지금 얼룩소 brf. 에 올라온 독일과 가스관 내용도 이 이론에 확실히 부합합니다. 입장에 따라서는 이런 내용에 대해 잘못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겠지만, 이렇게 돌아갈 줄 알았던 정권이나 전문가가 10년 이내로 많지 않았거나, 미국 국가 문서들에은 나오지만 적절한 견제는 지금까지 하지 못했던 것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저는 기존 책임을 묻는 건 무리라고 생각하고 앞으로의 디커플링 리스크를 줄이는게 더 중요하다는 입장인 겁니다.
독일의 러시아 에너지 의존은 가격과 이윤의 문제 이전에 "탈원전"이라는 정책목적을 속도 조절을 안 하고 추구하다보니 나타났다고 생각합니다. 탈원전을 그렇게 급하게 안 했으면 '싸고 깨끗한 러시아 가스'라는 가격과 이윤의 문제가 애초에 생기지도 않았겠죠. 탈원전은 명분이 있는 목적이었지만 현실 경제와 안보를 생각하지 않고 추진한 것은 분명 잘못입니다. 이번에 가시적으로 큰 대가로 돌아왔으니, 당연히 그 당시 수권정당이 책임을 져야 맞다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수권 정당이 정권 운영의 책임을 독점하는 내각책임제 정치인데요. 그리고 탈원전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착실하게 그 이슈를 추구하는 유권자들의 표를 받았던 것이고요.
어찌보면 트럼프 행정부 시절, 그리고 재선되면 나토 탈퇴 가능성까지 거론된 것도 이런 위기를 더 키운게 있지 않았나 싶은 생각이 스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