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시대, 프로그래머는 필요 없어지는 것일까?
2023/06/20
어떤 분야에서 신기술이 등장하면 대개 이에 대해 반응 하는 것은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다.
1. 새로운 것은 놀랄만큼 새롭다. 혁신의 씨앗이다! 대환영! 이 혁신으로 새로운 작업을 해야지!
2. 새로운 것이 꽤 새로워 보이나, 딱히 혁신은 없음. 하던거 그대로! 굳이 이 기술 쓸 필요 없음!
3. 새로운 것은 그닥 새롭지 않다. 오히려 기존의 산업을 망가뜨릴 것이다. 혁신에 반대일세!
첨부한 첫번째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 IT 혹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분야에서도 비슷한 일은 반복된다. 재미있는 것은 위에 제시한 세 가지 반응 중, 시간이 지나면서 첫번째 반응이 결국 살아 남았다는 것이다.
위의 이미지에서 첫번째로 언급한 1980년대 중반에 무슨 일이 있었는가. 그전 (1970년대-19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코딩이라는 것은 거의 기계어 레벨에서의 코딩이었다. 포트란 (fortran)은 1954년에 나왔지만, 1980년대 당시까지만 해도 여전히 학계와 업계에서 활발하게 쓰이고 있었고 (지금도 일부 물리학 연구에서는 간혹 보인다), 1964년의 베이직 (basic), 1970년 파스칼 (pascal) 등은 사실 지금 코딩 환경에 보자면 거의 극악의 코딩 난이도를 자랑하는 언어들이었다. 그러다가 1980년대 초반에 이르러, 객체지향 (object-oriented language)과 GUI (graphic user interface) 개념으로 무장한 편리한 코딩 환경이 갖춰진 언어들이 등장했는데, 예를 들어 1984년의 매트랩 (matlab)이 그렇고, 1986년의 오브젝티브 C (objective C), 1988년의 매쓰매티카 (mathematica) 등이 그렇다. 이들의 등장으로, 1970년대까지 활발하게 쓰던 기계어스러운 컴퓨터 언어들은 점차 레거시 코드들로 남게 되었고, 전문가 수준에서 이들 기계어 코딩을 담당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들은 점점 줄어들어갔다. 그래서 ...
1. 새로운 것은 놀랄만큼 새롭다. 혁신의 씨앗이다! 대환영! 이 혁신으로 새로운 작업을 해야지!
2. 새로운 것이 꽤 새로워 보이나, 딱히 혁신은 없음. 하던거 그대로! 굳이 이 기술 쓸 필요 없음!
3. 새로운 것은 그닥 새롭지 않다. 오히려 기존의 산업을 망가뜨릴 것이다. 혁신에 반대일세!
첨부한 첫번째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 IT 혹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분야에서도 비슷한 일은 반복된다. 재미있는 것은 위에 제시한 세 가지 반응 중, 시간이 지나면서 첫번째 반응이 결국 살아 남았다는 것이다.
위의 이미지에서 첫번째로 언급한 1980년대 중반에 무슨 일이 있었는가. 그전 (1970년대-19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코딩이라는 것은 거의 기계어 레벨에서의 코딩이었다. 포트란 (fortran)은 1954년에 나왔지만, 1980년대 당시까지만 해도 여전히 학계와 업계에서 활발하게 쓰이고 있었고 (지금도 일부 물리학 연구에서는 간혹 보인다), 1964년의 베이직 (basic), 1970년 파스칼 (pascal) 등은 사실 지금 코딩 환경에 보자면 거의 극악의 코딩 난이도를 자랑하는 언어들이었다. 그러다가 1980년대 초반에 이르러, 객체지향 (object-oriented language)과 GUI (graphic user interface) 개념으로 무장한 편리한 코딩 환경이 갖춰진 언어들이 등장했는데, 예를 들어 1984년의 매트랩 (matlab)이 그렇고, 1986년의 오브젝티브 C (objective C), 1988년의 매쓰매티카 (mathematica) 등이 그렇다. 이들의 등장으로, 1970년대까지 활발하게 쓰던 기계어스러운 컴퓨터 언어들은 점차 레거시 코드들로 남게 되었고, 전문가 수준에서 이들 기계어 코딩을 담당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들은 점점 줄어들어갔다. 그래서 ...
과학적 사고 방법을 토대로 자연과 사회를 해석합니다. 반도체, 첨단기술, 수학 알고리듬, 컴퓨터 시뮬레이션, 공학의 교육, 사회 현상에 대한 수학적 모델 등에 관심이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반도체 삼국지 (2022)', '호기심과 인내 (2022, 전자책)'가 있습니다.
기획자의 중요성이 커질 것 같습니다. 단순히 코드를 다루는 기술자 보다 그 기술들을 컨트롤 할 수 있고 초기에 설계단계를 잘 이뤄낼 수있는 기획자의 중요도가 커지지 않을까 싶네요 !
@박용섭 저도 동의합니다. 사실 지금도 원하는 내용이 있는데 문법 일일이 외우지 못하니 검색해서 가져온 뒤 필요한 내용으로 수정해 쓰는 부분이 꽤 되는데, 이런 것들 효율적으로 도와주면 좋긴 할 거예요. 다만 어제의 경험으로... 코드에서도 아무말을 잘 하는 녀석이라는 경각심은 갖게 됐습니다. ㅎㅎ
@윤신영 코어 알고리즘은 프로그래머가 당연히 검증해야 하지만, 껍데기는 대충 해주니까 노가다가 많이 줄어들죠. 디버깅 하다가 뭔가 사소한 syntax 오류 때문에 많은 시간을 허비한 기억들이 다 있잖아요. 그런 걸 줄여주는 도구라 무조건 땡큐죠.
글을 이해하기 쉽게 재미 있게 풀어 주셔서 유쾌하게 읽었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학문의 기초도 중요하고 관련 다양한 경험(인턴, 학부연구생, 공모전 등)을 해보는 게 좋다는 말씀이군요. 좋은 글이네요
@윤신영 맞습니다. 학생들도 과제나 프로젝트 할 때 필터링 없이 gpt 생성 코드를 그대로 썼다가 낭패를 보는 케이스를 이번 학기에 제법 봤습니다. 경험치가 쌓이면 gpt 류의 생성형 AI기반의 코딩의 한계와 활용이 효과를 어느 정도는 볼 것 같지만, 그래도 적용할 수 있는 깊이에는 현재로서는 한계가 뚜렷해 보입니다.
조금 전에도 간단히 분석해보고 싶은 게 있어서 코드 짜다 최근 모처의 외부 API 정책이 바뀌면서 먹통이 된 함수를 우회할 방법을 챗GPT에게 질문했더니... 너무나 태연하게 없는 함수를 제시하면서 그럴듯한 문법으로 코드를 짜줘서... 속았습니다. ㅎㅎ 제가 많이 이용하지 않아서 원하는 답을 얻지 못했을 수도 있지만... 아직은 루틴한 것만 잘 해주지 싶네요.
@윤신영 맞습니다. 학생들도 과제나 프로젝트 할 때 필터링 없이 gpt 생성 코드를 그대로 썼다가 낭패를 보는 케이스를 이번 학기에 제법 봤습니다. 경험치가 쌓이면 gpt 류의 생성형 AI기반의 코딩의 한계와 활용이 효과를 어느 정도는 볼 것 같지만, 그래도 적용할 수 있는 깊이에는 현재로서는 한계가 뚜렷해 보입니다.
조금 전에도 간단히 분석해보고 싶은 게 있어서 코드 짜다 최근 모처의 외부 API 정책이 바뀌면서 먹통이 된 함수를 우회할 방법을 챗GPT에게 질문했더니... 너무나 태연하게 없는 함수를 제시하면서 그럴듯한 문법으로 코드를 짜줘서... 속았습니다. ㅎㅎ 제가 많이 이용하지 않아서 원하는 답을 얻지 못했을 수도 있지만... 아직은 루틴한 것만 잘 해주지 싶네요.
@윤신영 코어 알고리즘은 프로그래머가 당연히 검증해야 하지만, 껍데기는 대충 해주니까 노가다가 많이 줄어들죠. 디버깅 하다가 뭔가 사소한 syntax 오류 때문에 많은 시간을 허비한 기억들이 다 있잖아요. 그런 걸 줄여주는 도구라 무조건 땡큐죠.
학문의 기초도 중요하고 관련 다양한 경험(인턴, 학부연구생, 공모전 등)을 해보는 게 좋다는 말씀이군요. 좋은 글이네요
@박용섭 저도 동의합니다. 사실 지금도 원하는 내용이 있는데 문법 일일이 외우지 못하니 검색해서 가져온 뒤 필요한 내용으로 수정해 쓰는 부분이 꽤 되는데, 이런 것들 효율적으로 도와주면 좋긴 할 거예요. 다만 어제의 경험으로... 코드에서도 아무말을 잘 하는 녀석이라는 경각심은 갖게 됐습니다. ㅎㅎ
글을 이해하기 쉽게 재미 있게 풀어 주셔서 유쾌하게 읽었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