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4/15
* 주의 : 이 글은 <히든 피겨스>에 대한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달에 성조기를 꼽은 사람도 남자, NASA에서 일하면서 이 과정을 도운 연구원들도 남자, 죄다 남자들이 해놓은 업적이라고 어렸을 때부터 거의 세뇌 당하다시피 배워왔다. 하지만 우주에 사람을 보내기 위해서는 복잡하고 정교한 수학적 계산이 필요하고, 여기에 중요한 건 성별이 아니라 얼마나 수학을 잘하느냐 뿐이다. 영화 <히든 피겨스>(2017)는 역사 속에서 지워진 '수학 천재' 여성들의 활약에 주목한다.
교차하는 정체성 그리고 착시효과
영화에서 주인공 여성들이 차별받는 이유는 두 가지다. 흑인이고 여성이었기 때문이다. 영화 속 장면들을 상기해보자. 캐서린 (타라지 헨슨 분)은 콜로넬 대령 (마허샬라 알리 분)으로부터 만남 초기에 천부적인 수학적 재능을 가지고 NASA에서 일한다는 점을 조롱당했다. 여성이 무슨 수학을 하며 무슨 NASA에서 일하냐는 맥락에서였다. 콜로넬 대령도 캐서린처럼 차별받는 흑인이건만, 캐서린은 여성이라는 정체성이 하나 더 추가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이중적으로 차별받아야 했다.
정체성에 또 다른 정체성의 교차. 특히 페미니즘에서 강조되곤 하는데 한 개인을 구성하는 다양한 정체성이 사회와 관계 맺는 방식이 다양해진다는 관점이다. <히든 피겨스>는 '정체성의 교차됨'이 구조적 차별을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 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투쟁...
우리는 달에 성조기를 꼽은 사람도 남자, NASA에서 일하면서 이 과정을 도운 연구원들도 남자, 죄다 남자들이 해놓은 업적이라고 어렸을 때부터 거의 세뇌 당하다시피 배워왔다. 하지만 우주에 사람을 보내기 위해서는 복잡하고 정교한 수학적 계산이 필요하고, 여기에 중요한 건 성별이 아니라 얼마나 수학을 잘하느냐 뿐이다. 영화 <히든 피겨스>(2017)는 역사 속에서 지워진 '수학 천재' 여성들의 활약에 주목한다.
교차하는 정체성 그리고 착시효과
영화에서 주인공 여성들이 차별받는 이유는 두 가지다. 흑인이고 여성이었기 때문이다. 영화 속 장면들을 상기해보자. 캐서린 (타라지 헨슨 분)은 콜로넬 대령 (마허샬라 알리 분)으로부터 만남 초기에 천부적인 수학적 재능을 가지고 NASA에서 일한다는 점을 조롱당했다. 여성이 무슨 수학을 하며 무슨 NASA에서 일하냐는 맥락에서였다. 콜로넬 대령도 캐서린처럼 차별받는 흑인이건만, 캐서린은 여성이라는 정체성이 하나 더 추가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이중적으로 차별받아야 했다.
정체성에 또 다른 정체성의 교차. 특히 페미니즘에서 강조되곤 하는데 한 개인을 구성하는 다양한 정체성이 사회와 관계 맺는 방식이 다양해진다는 관점이다. <히든 피겨스>는 '정체성의 교차됨'이 구조적 차별을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 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투쟁...
5년차 오마이뉴스 시민기자고, 다양한 이슈에 대한 글을 씁니다. 청년정책 및 거버넌스 관련해서 활동하는 활동가이기도 하고요, 정당에도 몸담고 있는 중이에요.
instagram @minjun7682
능력이 있다면 그자리에는 능력있는 사람이 있어야 사회 발전에 이바지함으로써 더욱 좋은 나라를 만들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와...맞습니다. 여자라서 그 자리까지 간게 아니라, 그 사람이 천재적이어서 그리고 제도가 바뀌었기 때문에 그 자리까지 오를 수 있었던 거죠. 그 제도를 누가 만들었나? 바로 남성들입니다.
여자를 고위직에 앉히거나 성과를 이뤘다는 것으로 유리천장은 깨지지 않았습니다.
진작 유리천장이 깨졌더라면 평범한 여성이 평범한 루트를 통해 성과를 얻을 수 있어야죠. 하지만 많은 여성들은 그대롭니다. 한 두명이 높은 성과를 이뤘다고 해서 유리천장이 깨졌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차별은 시대의 흐름과 업데이트 되니 차별을 반대하는 사람들도 계속 업데이트 되야죠. 돌고도는 순환.
그래서 정의에 여신은 천칭을 들고 있나 봅니다. 천칭은 계속 흔들리니까요.
차별이 올라오면 그 반대를 업데이트 합시다. 균형이 계속 맞춰지는 노력이 계속이어는 세상이기를.
되게 좋은 글이라고 생각해요! <희망 대신 욕망>을 쓰신 김원영 변호사도 이 책에서 자신이 잘 되는게(성공이)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하고 인권운동과 같은 활동에 참여하며 장애인이라는 정체성을 당당히 드러내게 되었다는 부분이 이 글에서 다루는 맥락과 일치하는 것 같아요.
김민준님, 늘 좋은 글 잘 읽고 있습니다.
읽다보니 영화 <히든피겨스>는 '구조적 차별은 없(다)는' 대한민국에 꽤나 적절한 문법의 영화로 읽혔을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마치 <위플래쉬>를 보고 노력의 가치를 다짐하는 대한민국 학생들처럼요.. )
답글 감사합니다.
되게 좋은 글이라고 생각해요! <희망 대신 욕망>을 쓰신 김원영 변호사도 이 책에서 자신이 잘 되는게(성공이)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하고 인권운동과 같은 활동에 참여하며 장애인이라는 정체성을 당당히 드러내게 되었다는 부분이 이 글에서 다루는 맥락과 일치하는 것 같아요.
김민준님, 늘 좋은 글 잘 읽고 있습니다.
읽다보니 영화 <히든피겨스>는 '구조적 차별은 없(다)는' 대한민국에 꽤나 적절한 문법의 영화로 읽혔을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마치 <위플래쉬>를 보고 노력의 가치를 다짐하는 대한민국 학생들처럼요.. )
답글 감사합니다.
차별은 시대의 흐름과 업데이트 되니 차별을 반대하는 사람들도 계속 업데이트 되야죠. 돌고도는 순환.
그래서 정의에 여신은 천칭을 들고 있나 봅니다. 천칭은 계속 흔들리니까요.
차별이 올라오면 그 반대를 업데이트 합시다. 균형이 계속 맞춰지는 노력이 계속이어는 세상이기를.
와...맞습니다. 여자라서 그 자리까지 간게 아니라, 그 사람이 천재적이어서 그리고 제도가 바뀌었기 때문에 그 자리까지 오를 수 있었던 거죠. 그 제도를 누가 만들었나? 바로 남성들입니다.
여자를 고위직에 앉히거나 성과를 이뤘다는 것으로 유리천장은 깨지지 않았습니다.
진작 유리천장이 깨졌더라면 평범한 여성이 평범한 루트를 통해 성과를 얻을 수 있어야죠. 하지만 많은 여성들은 그대롭니다. 한 두명이 높은 성과를 이뤘다고 해서 유리천장이 깨졌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