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업도 변해야 하나 우리 주위도 변해야해요. 비가 오면 일시에 바다로 빠져나가게
만들어 가고 도시에서는 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로 만들어 버리나
지하수가 만들어지지 않아요. 시골에도 마찬가지로 하천정비라고하여 직선화 또는 콘크리트로 만들어 버리니 어떻게 물이 장기간 땅속에 남아있겠어요. 우리생활이 너무 이기적으로 만들어 버리니 기후가 급속도로 변하지 않을 수 없지요. 생태도시와 생태환경을 만들어가며 자연과 함께 할 수있는 환경조건을 만들어 가야한다고 봐요. 그리고 우리농업도 여기에 맞춰 변해야 한다고 봐요.
감사합니다.
만들어 가고 도시에서는 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로 만들어 버리나
지하수가 만들어지지 않아요. 시골에도 마찬가지로 하천정비라고하여 직선화 또는 콘크리트로 만들어 버리니 어떻게 물이 장기간 땅속에 남아있겠어요. 우리생활이 너무 이기적으로 만들어 버리니 기후가 급속도로 변하지 않을 수 없지요. 생태도시와 생태환경을 만들어가며 자연과 함께 할 수있는 환경조건을 만들어 가야한다고 봐요. 그리고 우리농업도 여기에 맞춰 변해야 한다고 봐요.
감사합니다.
향후 농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10년 이상 농업생태계에 대해 연구해 오면서 생산성만을 위한 농업은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농경지도 작물을 포함한 생물이 살고있는 하나의 생태계이며 이러한 생물이 살수있는 환경이라야만 농업도 지속가능할 것입니다. 농경지 중 특히 논은 생물다양성이 풍부하다고 국제적으로도 인식되고 있는 농업생태계입니다. 과거 논에서 흔히들 볼 수 있었떤, 황새, 뜸부기, 물방개 등이 현재 우리나라에서 멸종위기종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앞으로 농업생태계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이야기도 심도깊게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으면 합니다.
향후 농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10년 이상 농업생태계에 대해 연구해 오면서 생산성만을 위한 농업은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농경지도 작물을 포함한 생물이 살고있는 하나의 생태계이며 이러한 생물이 살수있는 환경이라야만 농업도 지속가능할 것입니다. 농경지 중 특히 논은 생물다양성이 풍부하다고 국제적으로도 인식되고 있는 농업생태계입니다. 과거 논에서 흔히들 볼 수 있었떤, 황새, 뜸부기, 물방개 등이 현재 우리나라에서 멸종위기종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앞으로 농업생태계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이야기도 심도깊게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