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돌봄의 가치와 현실 사이에서

“제가 지역 활동할 때 주민들한테 돌봄 활동하자고 제안하는 게 미안해요. 다들 집에서 아이 돌보고 부모 모시고 있는데, 밖에서 나와서 활동할 때도 또 돌봄 하라고 하니까 다들 지겨워하죠.”

공동체와 돌봄을 주제로 대담하는 자리에서 한 지역활동가는 이렇게 말했다. 지역에서 활발한 활동으로 연결망을 만드는 이들 대다수가 중장년 여성이다. 돌봄이 지역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는 건 긍정적이지만, 그 결과로 이미 돌봄을 하고 있는 이들에게 또 돌봄을 요구하게 된다는 건 참 아이러니하다. 돌봄의 중요성이 확산하는 만큼 새로운 주체들도 나타나야 한다고, 그렇지 않고 말로만 돌봄이 이야기된다면 결국 돌보는 사람들이 더 힘들어진다고. 그가 지역 활동에서 마주한 현실은 오늘날 돌봄 담론의 한계를 그대로 반영하는 듯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우리에게 돌봄이라는 단어의 무게감은 이전과는 달라졌다. 팬데믹은 돌봄이 이 공동체를 유지하는 필수적인 것이고 우리 모두 삶의 기반이었음을 몸소 느끼게 해줬다. 저출생을 벗어나는 해법으로, 초고령화 시대에 가장 필요한 서비스로, 기후위기를 멈추고 탈성장사회로 가는 주요한 매개로, 돌봄이라는 단어는 급부상했다.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열쇳말이 된 셈이다.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조기현
조기현 인증된 계정
작가
책 <아빠의 아빠가 됐다>, <새파란 돌봄>을 썼고, 영화 <1포 10kg 100개의 생애>를 찍었다. 돌봄청년 커뮤니티 n인분을 운영하며, 동료들과 함께 아픈 이를 돌본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싶은 기획과 활동을 이어간다.
3
팔로워 63
팔로잉 1
n인분
n인분 인증된 계정
시민단체
돌봄청년 커뮤니티 n인분은 모든 존재가 서로 의존할 수 있는 돌봄안전망을 만들어 갑니다. 아픈 이를 돌보는 청년들의 자조모임에서 시작해, 돌봄청년들과 돌봄연구자들이 모여 가족, 성별, 세대를 넘어 모두를 위한 돌봄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모색합니다.
2
팔로워 59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