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R&D 기초연구 예산안: 과학기술 연구에서 철학의 중요성, 우리는 선도자인가 추격자인가?

김용표 인증된 계정 · 대기/기후환경 전공
2023/11/23
1.    들어가며 

우리나라 행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4년 과학기술연구 예산(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R&D 예산)은 2023년 31.1조원 대비 25.9조원으로 5.2조원(16.6%) 감축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필자도 의견을 냈고(https://alook.so/posts/bWtdWaK), 시사인 844호에 김연희 기자가 ‘그것이 알고 싶다 R&D 예산 삭감 미스터리’라는 기사에서 그 전말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593). 이 예산안 기조는 적어도 2027년까지는 계속될 예정으로 보인다. 행정부는 2023년 3월 「제1차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2023~2027)」에서는 R&D 예산은 정부 총지출의 5% 수준을 유지하며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170조원을 투자할 계획임을 밝혔다. 그러나 6개월만에 행정부가 2023년 9월 국회에 제출한 「2023~2027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는 R&D 분야 재정지출을 5년간 총 145.7조원 규모로 크게 축소하였다. 이 계획에 따르면 2027년도에야 R&D 예산이 2023년 예산보다 많아지는 것이다(1). 불과 6개월 사이에 행정부의 R&D에 대한 평가와 계획이 바뀐 것이다. 이 것은 세수 부족으로 인한 2024년 예산 삭감과 함께 R&D에 대한 현 행정부의 판단이 바뀐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 이 글에서는 필자가 생각하는 행정부의 R&D에 대한 철학(기본 방향이라고 해야 할까)을 기초연구 예산안을 예를 들어 정리하였다.

 
2.    기초연구
우리나라 기초연구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이 구분은 필자의 주관적인 판단이다); 개인 기초연구, 목적 기초연구, 기초과학연구원(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에서 수행하는 연구. 그리고 장기 기초연구이다. 개인 기초연구 과제는 미국 연구재단의 그랜트(grant) 개념과 비슷한 것으로 특정한 결과를 생산하는 것보다는 학문적 성과...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6
팔로워 20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