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묵지를 갖게 된 인공지능

서툰댄서
서툰댄서 · 네트워크를 꿈꾸는 자발적 실업자
2022/05/08
이전 글(무한한 경우의 수에 대하여)에서 바둑판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무한에 가깝게 방대하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일반적인 컴퓨터 알고리즘으로 바둑의 수를 계산하기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그럼 컴퓨터가 무한한 경우의 수로 펼쳐지는 바둑판 앞에서 자신이 둘 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무한한 경우의 수에 대응하는 역량이라는 관점에서, 인공지능에 대한 간단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합니다. 

혹시, 형식지와 암묵지라는 단어를 들어 보셨는지요? 
형식지는 말로 표현할 수 있는 지식을 말하고, 암묵지는 말로 표현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지식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자전거를 타는 방법을 익히는 것은 암묵지를 익히는 것입니다. 
자전거가 기울어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핸들을 돌려라 같은 내용을 담은, 자전거 타는 방법을 글로 설명한 매뉴얼을 만들 수는 있겠죠. 하지만, 실제로 자전거를 탈 수 있기 위해서는 몸으로 감각을 익혀야 하고, 그 감각은 말로 표현하기가 어렵습니다. 
감각을 지식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이상하게 보일지도 모르지만, 지식의 경계는 생각처럼 쉽게 단정하기가 어렵습니다. 
우리가 무엇을 안다는 것은, 그 앎을 통해 뭔가를 예측하거나 원하는 결과를 얻어내기 위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뜻일 수 있습니다. 자전거를 타는 법을 안다는 것은, 실제로 자전거를...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궁금하고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주제에 대해 배우고자 노력하고, 깨달아지는 것이 있으면 공유하고 공감을 구하는 평범한 사람입니다.
806
팔로워 415
팔로잉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