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
이창 · 쓰고 싶은 걸 씁니다.
2022/12/02

   어느덧 공기가 제법 차가워진 오늘, 12월 2일은 '국제 노예제 철폐의 날'이다. 1949년 12월 2일 UN에서 인신매매 및 성매매 금지 협약을 결의하며 전 세계적으로 노예제 폐지를 달성한 것으로부터 유래되었으며 그를 기억하고 노예제의 비인간성을 강조하기 위해 1985년에 제정되었다. 그리고 수십 년이 지나 2015년 '염전 노예 사건'이 CBS, 데일리메일, AP통신 등 주요 외신에 보도될 때 한국은 아직도 노예제가 실존하는 국가라는 식으로 대서특필된다. 부끄러운가. 하지만 암암리 존재했던 우리나라의 노예제는 비단 그뿐만 아니다.



  소설을 쓰지 못하는 한 중년 소설가는 그를 찾아온 남자에게 총을 겨눈다. 남자는 어렴풋한 미소를 짓고 있다.
“제가 한병장님을 찾았던 것은 나 대신 죽여 줄 사람이 필요했기 때문이었어요.”
  오랜 고통 끝에 간절히 염원한 한 사람의 절규가 귓가를 스친다. 이마를 겨눈 총구. 곧 총성이 울리고 사람들은 비명을 지르며 도망간다. 소설가는 쓰러진 남자 옆에 죽은 듯 누워 먼 허공을 응시한 채 독백한다. 이제 소설을 써야겠다. 아주 좋은 소설을.
1992, 영화 <하얀 전쟁>

  안정효 작가의 장편 소설 <전쟁과 도시>를 토대로 한 장지영 감독의 <하얀 전쟁>은 월남전에서 살아남은 이들의 생애를 발가벗겨 트라우마라는 거대한 악성 조직을 다룬다. 그 안에 전쟁의 후유증과 알 수 없는 무력감으로 아내와 이혼하고 월간 시사집에 소설을 연재하지만 나날이 글을 쓰는 일에 어려움을 겪는 소설가가 있다. 또 양민을 살해하고 전우의 죽음을 목격한 현장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해 살기를 다 포기한 것처럼 어딘가 불안해 보이는 부랑인도 있다. 그런 남자가 대략 일곱. 마흔일곱의 소대원 중 그나마 살아남았지만 귀국한 이후부터 다시 전쟁의 남은 잔상, 총성과 폭음 현장을 헤매야 하는 소모품의 숫자다.

  그중 넋이 나간 부랑인 변진수는 그들이 베트콩에게 했던 것처럼...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leexxxch@gmail.com
32
팔로워 114
팔로잉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