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21
HEINE 님 안녕하세요. 햄버거입니다.
회사에서 종종 듣는 '산업안전보건법' 수업을 듣는 듯한 느낌으로 글을 읽었습니다. 나열해 주신 사례들 중 제가 자주 왕래하는 부산/경남, 울산의 사고가 많아 마음이 편하지가 않았습니다. 인구 수로 따지면 수도권의 인구가 훨씬 많을 텐데 사고 발생 수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정확한 데이터는 확인을 못했지만)
친구가 안전관리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서로 업무적인 이야기는 잘 하지 않는데, 알고 있기로는 300인 이상의 사업장은 안전관리자를 직접 선임해야 하고, 300인 이하의 사업장에서는 전문 기관에 위탁하는 것이라고 들었습니다.
잘 모르는 분야이지만, 글을 읽고 안타까운 마음에 답글을 남겨봅니다.
회사에서 종종 듣는 '산업안전보건법' 수업을 듣는 듯한 느낌으로 글을 읽었습니다. 나열해 주신 사례들 중 제가 자주 왕래하는 부산/경남, 울산의 사고가 많아 마음이 편하지가 않았습니다. 인구 수로 따지면 수도권의 인구가 훨씬 많을 텐데 사고 발생 수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정확한 데이터는 확인을 못했지만)
친구가 안전관리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서로 업무적인 이야기는 잘 하지 않는데, 알고 있기로는 300인 이상의 사업장은 안전관리자를 직접 선임해야 하고, 300인 이하의 사업장에서는 전문 기관에 위탁하는 것이라고 들었습니다.
잘 모르는 분야이지만, 글을 읽고 안타까운 마음에 답글을 남겨봅니다.
11월 상반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에 공지된 산재사고들이다. 7명의 노동자가 퇴근하지 못했다. 사고 유형을 분석하면 추락 5건...
사회자체는 여전히 미발전된 것들이 분명 존재하죠.
가장 시급하게 개선 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ㅜ
후진국형 사고가 발생하는건 대한민국이 아직 후진국이기때문입니다
개발도상국이라는 사람도 있고 선진국이란 사람도 있지만 ᆢ
사회 자체는 여전히 미 발전상태가 많습니다
다른건 빠르게 발전할수 있지만 ᆢ
저런건 시간이 필요합니다
후진국형 사고가 발생하는건 대한민국이 아직 후진국이기때문입니다
개발도상국이라는 사람도 있고 선진국이란 사람도 있지만 ᆢ
사회 자체는 여전히 미 발전상태가 많습니다
다른건 빠르게 발전할수 있지만 ᆢ
저런건 시간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