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현
최태현 인증된 계정 · alookso 에디터
2022/04/04
지난 주 금요일에 제주 4·3 시리즈를 발행하면서 퀴즈도 냈습니다. 객관식 네 문제와 주관식 한 문제입니다. 4·3의 발생 원인, 성격, 관련 문화콘텐츠 등을 물었습니다. 얼룩커 여러분이 4·3에 관해 잘 알고 계신 듯해 무척 반가웠습니다. 아래에 문제마다 해설을 작성했습니다. 4·3을 다시 한 번 복습하는 느낌으로 읽어봐 주시면 감사합니다.
혹시 아직 문제를 풀지 않으셨다면, 여기를 눌러 한 번 풀어보시겠어요? 3분이면 됩니다.

해설지
  1. 제주 4·3의 발생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일까요? (정답 : d)

a. 1947년 ‘3·1절 제주도 기념대회’ 경찰 발포: 3·1절 기념대회에서 제주도민 6명이 숨지고 8명이 다친 3·1 사건은 4·3으로 가는 도화선으로 평가된다.

b. 1947년 3·10 민관 총파업: 3·1 사건 이후 미군정 경찰은 책임자 처벌은커녕 그날부터 통행금지령을 내렸고 경찰을 추가 파견해 기념대회 참가자 검거에 들어갔다. 이에 제주도민들은 3월 10일 직장인 95%가 참여한 민관 총파업을 벌였다.

c. 1947년 3월 12일 ‘트루먼 독트린’: 미소 냉전체제를 공식화한 ‘트루먼 독트린’은 미군이 제주도 사태에 개입할 논리적 근거가 됐다. 미국은 냉전의 렌즈로 제주도 상황을 지켜봤다. 이런 인식 아래에서 미군정은 제주도를 ‘붉은 섬’으로 규정했다. 주한미군사령부도 제주도를 ‘좌익 세력의 거점’이라고 말했다.

d. 1948년 5월 10일 총선거 미실시: 제주 4·3의 결과로 5월 10일 총선거는 실패했다. 남로당을 중심으로 한 무장대가 선거일이 다가오자 선거 사무소를 습격하는 등 선거 방해에 총력을 기울인 탓이다. 전국 선거구 가운데 제주도 2개 선거구가 과반수 미달로 무효 처리됐다.

2. 제주 4·3 특별법은 제주 4·3 사건이 벌어진 기간을 어떻게 정의할까요? (정답 : c...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61
팔로워 229
팔로잉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