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장연 시위, 대중교통 공공성 복원의 첫 걸음
2023/01/09
오늘날 한국 사회의 핵심 쟁점들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전장(戰場)이 하나 있다면 서울교통공사(서교공)이다. 공공기관 단 한 곳에서 이렇게까지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나 싶을 정도다. 흥미로운 것은 그 목록들의 상호 연결성이다. 공공기관에서 ‘공공성’이라는 원칙이 무너졌을 때 얼마나 많은 것들이 연달아 무너질 수 있는지를 서교공이 분명하게 보여준다. 다음의 목록들을 보자.
1. 장애인의 시민성과 공동체로서 사회의 해체 문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의 이동권 보장 요구 시위는 더 이상 부연설명이 필요 없는 이슈다. 전장연이 시위를 통해 주장하는 핵심 요구안은 장애인 권리 예산의 실질적 증액이지만, 서교공이 타깃이 된 데는 잘 알려져 있듯 지하철역 엘리베이터 설치 문제가 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작년에 이 문제를 정쟁화하며 ’1역사 1동선’이 94% 확보되어 있다는 근거를 들어 전장연 시위를 비판했는데, 저 94%라는 숫자를 바탕으로 공공성의 문제를 깊이 고민해볼 수 있다. 장애인 단체가 지하철역 이동권을 요구하기 시작한 것은 2001년, 20년도 더 된 일이다. 몇 차례 약속이 있었다. 2004년까지 100%(이명박 당시 서울시장), 2022년까지 100%(박원순 당시 서울시장), 하지만 2022년까지 94%였다.
이는 정치권과 공공기관이 장애인의 이동권, 나아가 장애인을 어떻게 바라보는가의 문제다. 어떤 시민 집단이 지하철역을 온전히 이용할 수 없다는데 선출직 정치인과 공공기관이 ‘아쉽고 미안하지만 좀 기다리라’ 정도로 간단히 무마하고 넘어가도 된다고 믿는 것은 장애인을 ‘2등 시민’으로 바라보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이다. 장애인들은 이런 차별을 일상에서 수십년 간 겪어왔다. 이들이 이동권 문제를 단지 ‘6%의 아쉬움’이 아니라 근본적 문제로 받아들이는 이유다.
이는 정치권과 공공기관이 장애인의 이동권, 나아가 장애인을 어떻게 바라보는가의 문제다. 어떤 시민 집단이 지하철역을 온전히 이용할 수 없다는데 선출직 정치인과 공공기관이 ‘아쉽고 미안하지만 좀 기다리라’ 정도로 간단히 무마하고 넘어가도 된다고 믿는 것은 장애인을 ‘2등 시민’으로 바라보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이다. 장애인들은 이런 차별을 일상에서 수십년 간 겪어왔다. 이들이 이동권 문제를 단지 ‘6%의 아쉬움’이 아니라 근본적 문제로 받아들이는 이유다.
서교공이 전장연 시위에 대응하는 방식도 중요하게 다뤄져야 한다. 역사 내 방송을 통...
미디어스, 경향신문에 칼럼을 연재했고, 연재한 칼럼을 묶어 『지금은 없는 시민』(한겨레출판)을 냈다. 진보적 담론 확산과 건강한 토론문화 구축을 목표로 하는 '토론의 즐거움' 모임에 참여하고 있다. 민주주의와 시민의 문제에 대해 주로 쓴다.
선별하는 권리 그것이 권력이죠 민중에게 인권이란 명분 밖에는 희망이 없는 듯 공허해도 부르짖을 희망이여